서울시, 수상버스 도입 검토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4-18 16:00:5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포골드라인 혼잡 완화 일환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서울시가 김포골드라인 혼잡도 완화 대책의 일환으로 서울~김포구간 수상 교통운송망 구축에 본격 돌입한다.


시는 서울∼김포 한강 구간에 수상버스(리버버스)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수상 교통운송망 구축 작업에 착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서쪽 신곡수중보, 동쪽 잠실수중보를 기점으로 행주대교 남단부터 잠실까지 약 30㎞ 구간, 10개 선착장을 오가는 다양한 리버버스 노선을 검토 중이다.

김포시민이 셔틀버스나 노선버스 등으로 행주대교 남단 선착장까지 와 리버버스로 갈아타면 여의도까지 20분 이내 도착할 수 있다고 시는 예상했다.

시는 리버버스가 교통수단인 점을 고려해 정기권을 발행하고 지하철·버스와 환승 할인도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세부 실행 방안을 이른 시일 내 구체화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 1년 안에 리버버스를 본격적으로 운행한다는 목표다.

앞서 시는 승객의 실신사고 이후 김포골드라인 혼잡도 완화 방안으로 김포시장이 제안한 수륙양용버스 도입을 우선 검토했다.

하지만 시는 육상과 수상을 모두 운항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수송 능력(40인승), 속도(15㎞/h), 경제성(대당 20억∼30억원) 등을 고려할 때 관광용으로는 적합하지만 대중 교통수단으론 역부족이라고 결론 내렸다.

시에 따르면 리버버스는 속도가 50㎞/h 내외로 수륙양용버스에 비해 빨라 이동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가격은 대당 20억원 내외로 수륙양용버스와 비슷하지만 1회 수송 가능 인원이 200명 내외여서 가격 대비 수송 능력이 월등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3월 방문한 영국 런던 템스강에서 리버버스를 직접 타본 뒤 귀국 직후부터 도입을 검토했다.

오 시장은 “서울시와 김포는 같은 한강 생활권인 만큼, 이동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새로운 수상 교통수단 도입 검토가 필요한 시기”라며 “교통정체 없는 한강 자원을 활용하면서도 기존 지하철 ·버스 등과 연계성을 높인다면 김포골드라인 등 교통 혼잡도 개선, 리버버스 노선 상용화 등 다양한 연계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수도권 시민 모두가 곧 서울 시민이라는 시정 철학을 갖고 광역교통 혼잡도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