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 땐 30일부터 전면 파업 [수원=채종수 기자] 경기도 전체 노선버스의 90% 이상이 속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이하 협의회)가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 97.3%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파업 찬반투표는 20일 오전 9시~오후 4시 협의회 소속 버스업체별로 진행돼 47곳 모두에서 찬성표가 반대표보다 훨씬 많이 나왔다.
이날 투표에는 소속 조합원 1만5234명 중 95.1%인 1만4484명이 참여했으며, 찬성표는 1만4091표(97.3%)가 나왔다는 게 협의회의 설명이다.
이번 교섭에 참여하고 있는 47개 버스업체가 운행 중인 버스는 1만600여대(공공버스 2100여대, 민영제 노선 8500여대)로, 도내 전체 노선버스의 92%를 차지한다.
파업이 가결됨에 따라 경기지역 버스 노사는 파업 돌입까지 두 차례의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 노동쟁의 조정회의만을 남기게 됐다.
조정 기한인 오는 29일까지 노사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노조는 30일 첫 차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협의회 관계자는 "찬반투표 결과에서 드러난 조합원들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해 총력 투쟁할 것"이라며 "준공영제 전면 시행과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1일 2교대제로 전환 및 서울시 수준의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최근 경유가등 원자재비 상승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토로하는 사측(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경기도가 나서서 버스 사업의 근본적인 구조 개선을 이뤄주지 않으면 노조 측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15일 시내버스 노선 준공영제 전환과 임금 인상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경기도 시내버스 안정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반면, 협의회는 "도가 전체의 10%에 불과한 시계노선(2개 이상 시군 간 운행하는 노선)만을 준공영제로 전환하려 한다"며 전체 노선의 준공영제 전환을 요구 중이다.
협의회는 오는 23일 사측과 1차 조정회의를 갖는 한편 26일에는 경기도청 앞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