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하천 ‘보→자연형 여울’ 교체 2024년까지 연구 추진

손우정 / sw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5-19 16:18:3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남양주 왕숙천등 3곳 생태변화 관찰키로 [의정부=손우정 기자] 경기도가 하천 횡단시설물인 ‘보’를 철거하는 대신 ‘자연형 여울’을 설치하는 것이 환경친화적인가 대해 알아보고자 전문가 집단과 손을 잡았다.


도는 이달부터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보 철거 시 여울 설치 효과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지자체 등 국내 많은 곳에서 생태계 연속성 저해와 수질 악영향 등의 이유로 ‘보’를 철거하는 대신, 하천 바닥에 완만한 경사를 만드는 ‘자연형 여울’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추세다.

보통 ‘보’나 ‘낙차공’이 하상 불안정 구간에 설치한 경우가 많기에, 철거시 급격한 하상변동이 당연히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자연형 여울’ 등의 인공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물의 원활한 흐름이나 생태계 회복 등 환경적 측면에서 최선인지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계속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도는 경기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관련 분야 교수, 남양주시 등이 참여하는 전문 자문단을 구성, 이달부터 2024년 12월까지 연구를 추진한다.

연구는 보 철거 후 자연형 여울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2년여간 하상변동 상황, 수질, 퇴적물, 생태변화 등에 대해 면밀하게 관찰하며, 그간 자연형 여울을 설치했던 곳과 비교해 효과를 검증ㆍ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상지는 하천 규모와 수리, 환경 등을 고려해 남양주 지역내 왕숙천 내각신보, 오남천 연평낙차공, 맹동천 맹동1낙차공 3곳으로 선정했다.

이를 위해 오는 6월부터 10월까지 대상지 3곳에 대해 보ㆍ낙차공 철거 공사를 진행한다.

도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결과에 따라 도내 하천 보 철거 및 여울 설치 여부를 체계적으로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타 지자체에서도 보 철거와 자연형 여울 설치 여부 판단에 참고할 수 있도록 연구 전과정을 기록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손우정 손우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