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대학 학칙에 맞는 '유효 휴학계'를 제출한 의대생이 재학생이 123명 늘었다.
26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25일 전국 40개 의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효 휴학을 신청한 학생은 5개교 123명으로 집계됐다.
기존에 냈던 휴학계를 철회한 학생은 1개교에서 1명 발생했다.
이로써 유효 휴학 신청 건수는 누적 9231건이다. 지난 2023년 4월 기준 전국 의대 재학생(1만8793명)의 49.1% 수준이다.
유효 휴학 신청은 학부모 동의, 학과장 서명 등 학칙에 따른 절차를 지켜 제출된 휴학계다.
교육부는 지난 2월까지 학칙에 따른 절차 준수 여부와 상관없이 학생들이 낸 휴학계 규모를 모두 집계했는데, 이렇게 휴학계를 제출한 의대생은 총 1만3697명(중복 포함)이었다.
하지만 이달부터는 유효 휴학 신청만을 집계하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20일 '2000명 증원분'에 대한 대학별 배분 결과를 발표하면서 동맹휴학 등 의대생들의 집단행동도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지난 23일 임시총회를 열고 의대 교수들의 집단 사직서 제출일인 25일에 맞춰 전국 40개 모든 의대가 휴학계 수리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수리되지 않는 단위는 행정소송도 불사하겠다"고 결의했다.
교육부는 형식 요건을 갖췄더라도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가 아니어서 허가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교육부는 대학에 엄정한 학사 관리를 요청하는 한편, 동맹휴학을 허가하지 말라고 거듭 당부했다.
아울러 이날부터 집단행동 참여를 강요받는 의대생을 보호하기 위해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센터'를 운영한다.
수업 복귀를 희망함에도 개인 또는 집단의 강요 등으로 복귀를 망설이는 학생, 수업 복귀 후 이와 유사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