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金이 설명"... 金 "언급 안해"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21일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중장)을 재소환해 조사를 실시했다.
공수처 수사4부(이대환 부장검사)는 이날 김 사령관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진행했으며, 오전 9시 20분께 공수처에 출석한 김 사령관은 취재진의 질문에 모두 답하지 않았다.
해병대 최고 지휘관인 김 사령관은 지난해 7∼8월 채상병 순직 사건을 초동 조사한 박 전 단장에게 윗선의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박 전 단장이 지난해 7월 30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간부 8명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수사 결과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한 다음날 김 사령관이 돌연 언론 브리핑 취소를 통보하며 부대 복귀를 지시했고, 이어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박 전 단장에게 전화해 ‘혐의자와 혐의 내용을 다 빼라’고 했다는 것이 박 전 단장의 주장이다.
이에 박 전 단장이 김 사령관에게 이유를 묻자 “오전 대통령실에서 VIP 주재 회의 간 1사단 수사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VIP가 격노하면서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고 설명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 사령관은 군검찰 조사 당시 이러한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VIP란 단어 언급 자체를 한 사실도 없고, VIP가 격노해 장관과 통화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공수처는 전날에는 박경훈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직무대리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조사했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군검찰이 경찰로부터 회수한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보고서를 넘겨받아 재검토한 뒤, 당초 8명이던 주요 혐의자를 2명으로 줄여 경찰에 재이첩했는데, 당시 국방부 조사본부 책임자가 박 전 직무대리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