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농단 연루’ 법관 2명 정직 6개월

고수현 / smkh86@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12-19 00:02:4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법관징계委, 13명 중 8명 무더기 징계 의결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에 연루돼 징계에 넘겨진 법관 13명 중 8명이 징계처분을 받았다.

지난 6월15일 김명수 대법원장은 13명 법관에 대한 징계를 청구한 바 있다.

18일 대법원에 따르면 법관징계위원회(이하 징계위)는 지난 17일 법관 13명에 대한 제4차 심의기일을 열고 이처럼 결정했다.

징계위는 이규진·이민걸 서울고법 부장판사에게 각각 정직 6개월, 방창현 대전지법 부장판사에게 정직 3개월을 의결했다.

이규진 부장판사는 통합진보당과 관련한 소송에 개입한 혐의 등으로 품위를 손상했다는 사유가, 이민걸 부장판사는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항소심 전략 문건 작성을 지시하는 등 품위를 손상하고 직무상 의무를 위반했다는 사유가 적용됐다.

또한 방창현 부장판사는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지방의원의 행정소송 과정에서 심증을 노출하고 선고 연기 요청을 수락해 직무상 의무를 위반했다는 사유가 적용됐다.

징계위는 또 양승태 사법부 시절 법원행정처 심의관으로 각종 문건을 작성한 박상언 창원지법 부장판사(감봉 5개월), 정다주 울산지법 부장판사(감봉 5개월), 김민수 창원지법 부장판사(감봉 4개월), 시진국 창원지법 통영지원 부장판사(감봉 3월)에게 각각 감봉의 징계를 의결했다.

징계위는 이들에게 모두 품위 손상이라는 징계 사유를 적용했다.

전 법원행정처 심의관으로 통진당 국회의원 행정사건의 전원합의체 회부를 검토하는 데 관여한 문성호 서울남부지법 판사는 품위 손상으로 견책 징계를 받게 됐다.

아울러 징계위는 국제인권법연구회 대응방안 수립에 관여한 김모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와 노모 서울고법 판사에 대해서는 품위 손상이라는 징계 사유를 인정하되 불문에 부치기로 했다.

법관징계법은 징계 사유가 있으나 징계처분을 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불문(不問)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이외에도 징계위는 국제인권법연구회 압박 방안에 관여하거나 지방법원 단독판사회의와 관련해 품위를 손상한 혐의로 징계위에 넘겨진 3명의 판사에 대해서는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앞서 김명수 대법원장은 "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감수하고 징계절차에 회부했다"며 "관여 정도와 담당 업무의 특성을 고려해 징계절차가 끝날 때까지 일부 대상자는 재판 업무에서 배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