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황혜빈 기자]경찰이 수입차 브랜드 BMW의 차 결함 은폐 의혹과 관련해 임직원을 추가 입건, 조사 중이다.
경찰은 최근 BMW가 차의 결함을 알고도 은폐해왔다는 정부 조사 결과에 대해 사실로 볼 만한 정황을 이미 확보하고, BMW코리아 상무 1명과 직원들을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추가 입건했다고 30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 과정에서 (은폐한 사실이) 정황이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새로 입건된 상무와 직원 등을 소환해 차량 결함을 알면서도 늑장 리콜했는지 조사했다.
또한 BMW코리아 김효준 회장 등 윗선의 개입 여부도 파악 중이다.
지난 여름, BMW 차에서 잇달아 불이 나는 사고가 발생하며 BMW의 차량 결함 은폐 의혹이 불거졌다.
지난 7월 BMW는 “2016년부터 유럽에서 비슷한 엔진 사고가 있어 원인 규명을 위해 실험해왔는데 최근에야 EGR 결함이라는 결론이 나왔다”고 원인 규명, 리콜을 시행했다.
그러나 BMW가 여론의 비판이 거세지고 나서야 원인 규명 실험을 마쳤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결함 은폐 의혹 조사에 나섰다.
국토부와 민관합동조사단의 합동조사 결과, BMW코리아가 2015년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의 결함을 알면서도 은폐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BMW코리아는 이러한 결과가 나온 후에도 “화재의 근본 원인이 확인된 시점에 지체 없이 리콜 조치를 개시했다”며 정면 반박했다.
화재 피해를 본 BMW 차주 등은 국토부 조사와 별도로 독일 본사와 한국지사 회장 등의 관계자들을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
수사에 나선 경찰은 지난 8~9월 BMW코리아 사무실과 EGR 부품 납품업체 본사, 연구소 등을 압수수색했다.
조사 결과 은폐 정황이 파악돼, 경찰은 피고소인뿐 아니라 실무자, 업무 관련성이 있는 임원까지 추가로 입건했다.
경찰은 압수수색한 자료를 토대로 은폐 정황을 계속 분석 중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