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이러한 국제사회의 우려마저 일상적인 일로 치부되는 듯한 느낌마저 든다.
이는 병법의 기본논리인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정신에 맞질 않는다.
없는 위기(crisis)를 애써서 조장하는 것도 큰 죄악이지만, 분명 존재하는 안보적 위기를 적절히 인식치 못하는 것은 더 큰 죄악이 될 수가 있다.
생존권이 걸린 북 핵을 우리 국민들이 이렇게 안이하게 생각하는 근본원인을 살펴보면 우리사회의 일부 세력과 현 정부가 북 핵의 위험성을 애써서 폄하하고 숨기려는 잘못된 태도에 상당부분 기인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 중의 하나가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이번에 불거진 북한정권의 핵 실험 강행의지가 전해진 순간에도 미국정부가 북한에게 한 번만 더 대화의 기회를 줄 것을 요청하면서 지금까지 그가 장담한 바대로 전개되지 않은 북 핵 정국의 본질을 이야기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번 사태의 악화에 김대중 정부의 ‘국민의 정부’와 현 ‘참여 정부’의 유화책 위주의 대북정책 실행과 적절한 시점에서의 강경한 대책의 방치와 신뢰성이 결여된 낙관론(樂觀論)이 상당부분 이러한 사태를 불러온 책임을 져야하는 상황이기에 더욱 더 필자가 그러한 생각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제는 그 누구도 유엔의 안보리 성명과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맹국들의 북한에 대한 단호한 대처요구를 잠재울 수 있는 명분과 실리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 사회의 일부세력들은 북한의 추악하고 왜소한 본질(本質)을 호도하면서, “핵 실험 징후가 별로 발견되지 않는다”는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대북유화적인 제스쳐만 날려 보낸다.
한반도에서 안보문제의 피해와 집행의 직접 당사자들인 국민들이 정확한 현실 파악과 대처마련에 대한 심각한 공론(公論)을 잠재우고 애써서 북 핵 실험가능성을 일축하는 현 정권의 속내는 무엇인가?
결국에는 모든 것이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이 정부와 소위 정부에서 녹을 먹고 있는 안보전문가들은 국민들에게 진실 하나 하나를 더 절실하고 정확하게 말해야 하는 큰 역사적 책무를 소흘하게 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국민들이 불안해 할까봐 미리 북 핵 논의를 소수에 국한한다는 명분도 결국에는 더 큰 역사적 책임을 불러오는 잘못된 정권의 폐쇄적 의사결정과정을 일면 설명할 뿐인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국회에 정부가 참여하고 국회가 주도하고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범국민북핵대처위원회’의 설치를 촉구한다.
이제 이 문제는 온 국민모두가 심각하게 현실을 인식하고 그 바탕위에서 새로운 해결책 마련을 위한 정부의 겸허하고 솔직한 의견교환의 절차가 필요한 것이다.
북의 핵 실험 가능성에 많은 가능성을 두고 대처를 요구하는 미국과 일본의 주장에 우리 정부는 아직도 대부분이 추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진단이라며 특별한 징후가 포착되지 않는다는 낙관적인 분석을 하고 있다.
여기서 필자는 한 가지 의문을 제기한다.
과연 우리정부가 미국이나 일본의 북한에 대한 정보력을 능가하는 정확한 첩보수집 및 분석능력을 갖고 우리 우방들의 그러한 주장을 추측이라는 단어로 가벼이 취급해도 되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필자는 이 대목에서 우리 정부의 정확하고 확실한 판단 근거를 국민과 국회에게 공개하고 우리 국민들이 정말로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라는 것이다.
항상 사태가 불거지고 문제가 터지면 사태 후 수습에서 국민들의 질타를 받아야 하는 사태가 오지 말라는 근거를 알려달라는 것이다.
이렇게 또 국민들의 대다수가 생각하는 정확한 대처방안마련에 소극적인 정부를 신뢰해 달라고 요구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라는 것이다.
필자도 절대로 북한정권이 핵 실험을 강행하는 대실수를 하지 말기를 바란다.
김정일 정권 생존차원의 책략이란 이해를 기반으로 지금이라도 국제사회에서 얻을 것은 얻고 투명하게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참여하길 바란다.
하지만 필자가 이해를 할 수 없고 지금도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대목이 이러한 북한의 결단과 변화를 차단하는 가장 큰 요인이 바로 현 정부의 지나치게 유화적인 대북논평과 김대중 전 대통령처럼 도를 넘어선 북한정권 옹호발언이라는 점이다.
현 정권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큰 책무(責務)를 바로 이러한 현실인식의 대전환에서 시작하여, 지금이라도 북한이 제대로 이 민족의 장래를 위한 결단을 내리라는 강력하고 단호한 국민들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것이다.
또 우리 국민들이 두 눈을 크게 뜨고 이제 이러한 우리의 공동체의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