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조계종은 불교계에 대한 불법사찰 사태와 관련해 불교계 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다.
조계종 중앙종회와 총무원은 지난 12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0만 불자와 종도들을 대신해 불교계를 대상으로 한 불법사찰과 정치공작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조계종은 중앙종회 의장단·상임분과위원장 명의의 성명을 통해 “검찰 조사 결과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총무원장과 종회의장 등 종단 주요 지도자들을 불법 사찰해 왔음이 드러났다”며 “부처님오신날을 앞두고 훼불수준 내지는 ‘불교죽이기’식 보도가 휘몰아친 배경 역시 불법사찰 정권의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비적했다.
이어 “2008년 범불교도대회 전후로 중앙종무기관 주요 소임자및 주요사찰 주지에 대한 계좌를 추적하고 총무원 IP 추적을 통해 종무원 개인정보를 무더기로 확인한 행위는 공권력의 의도된 횡포”라며 “종단 지도자 스님들에 대한 불법사찰·정치공작의 진상과 불법사찰 대상자 및 이유를 낱낱이 밝히라”고 촉구했다.
이날 조계종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총리실과 검찰을 방문,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한편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조계종 고위 인사들을 사찰해온 사실이 검찰 수사로 확인됐다.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부장검사)은 조계종 지관 스님과 보선 스님에 대한 사찰 자료를 확보해 사실관계를 파악했다고 밝혔다.
13일 검찰과 조계종에 따르면, 지관 스님은 2005년부터 2009년 말까지 조계종 총무원장을 지낸 뒤 올해 초 입적했고, 보선 스님은 2008년 말부터 조계종 입법부인 중앙종회 의장을 맡고 있다.
검찰은 지관 스님에 대한 사찰 자료를 분석하던 중 보선 스님에 대한 내용을 함께 발견, 최근 보선 스님에 대한 전화조사를 통해 피해 여부 등을 확인했다.
다만 사찰 문건에서 보선 스님 외에 추가로 불교계 인사가 드러나지 않았고, 사찰 내용이 단순 동향 보고일 뿐 미행이나 강요 행위가 확인되지 않아 사법처리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정식 기자 pjs@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