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자성어로 본 중국경제의 5대 변화
중국은 더 이상 세계의 공장이 아니었다. 만만한 시장도 아니었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을 세계의 연구소로 탈바꿈시키겠다고 천명했고, 기업들은 혁신으로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4일 최근 괄목할만한 성장과 변화를 보이고 있는 중국 경제에 대한 분석 자료를 내놨다.
◇외자기업 수출비중 감소… '외국기업은 토사구팽'
중국은 개방초기 '초국민대우'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외국자본을 유치했다. 외자기업은 수출의 반 이상을 책임졌고 중국의 경제성장과 기술 발전의 촉매제가 됐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외자기업 수출의존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내 외자기업의 수출액은 지난 2007년 6959억달러에서 지난해 1조159억달러로 2배 가까이 늘었지만, 차지하는 비중은 57.1%에서 49.6%로 7.5% 가까이 줄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최근 몇 년 전부터 '선별적인 외국인 투자'를 강조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2000년 중반부터 시작된 '내·외자기업 세제 일원화'로 외국기업에 대한 보편적 세금혜택은 점차 줄어들었고, 가격 경쟁력은 그만큼 줄었다. 자국기업 육성 대한 중국정부의 의지와 자신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가공수출 비중 감소… 이제부터 자체 조달
중국의 가공수출액 역시 줄어들고 있다. 가공무역은 원자재나 반제품을 가공해 재수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지난해 중국의 가공무역 수출이 중국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년 전보다 절반으로 줄었다. 지난 2007년 2046억달러에서 지난해 1834억불로 줄었고 수출 비중도 16.7%에서 8.9%로 낮아졌다.
가공무역 비중 감소는 단기적으로는 주요 수출시장의 경기부진 등 완제품 수요 감소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산업고도화에 따른 현지 부품조달 증가로 반제품을 수입할 필요성이 줄어들며 가공무역 비중은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에게는 피하고 싶은 현실이다. 한국의 대중 중간재 수출은 전체의 75%가량을 차지한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구조는 중간재 73.2%, 최종재 25.5%, 1차산품 1.3%이다.
한중간 분업구조는 비약적인 대중 수출 증가의 기반이었다. 우리의 최대 수출 시장이 이렇게 변하고 있는 것이다.
◇수출 1위 품목 최다보유국 '중국'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나라는 어디일까. 유럽도, 미국도, 일본도 아닌 중국이다.
UN 컴트레이드 분석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수출 1위 품목수는 지난 2002년 당시 787개에서 지난 2011년 1431개로 수직 상승했다.
2002년 중국은 미국과 독일에 이어 3위에 머물렀으나 2004년 미국을 제치고 2위로 부상했고, 다시 1년 뒤인 2005년 독일을 넘어선 뒤 지금까지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수출 1위 품목의 비약적인 증가는 중국이 농산물, 노동집약적 산업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음을 뜻한다.
◇첨단품목 수출액 증가…Made in China의 환골탈태
중국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첨단품목 수출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OECD(STI Board) 분류기준에 따라 한국과 중국의 첨단산업별 수출액을 보면 지난 2002년에는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지난 2011년에는 5.3~21배까지 차이가 벌어진다.
특히 항공우주장비의 경우 2002년에는 한국이 2배가량 많았으나 현재는 중국이 월등히 추월한 상태다.
여전히 중국산은 저가의 저품질 공산품일 것이라는 한국인의 선입견에서 많이 달라진 모습이다.
◇국제 특허수 한국 추월…창조강국으로 괄목상대
특허수를 보아도 중국의 첨단산업화를 알 수 있다. 중국이 매년 출원하는 국제특허수는 최근 5년 사이 3배 이상 증가했고, 2010년 한국을 추월했다.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제특허를 출원한 기업 역시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ZTE사(3906건)로 하루에 10개 이상의 특허를 쏟아내고 있다.
한국의 국제특허 등록수는 2007년 7064개로 세계 4위에서 지난해 1만1848개로 5위를 차지했으나, 주국은 2007년 5455개 7위에서 지난해 1만8627개로 세계 4위로 올라섰다.
이런 성과는 지난 후진타오정부에서 제 11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2006~2010)에서 주창한 자주창신(自主創新)전략과 관련이 있다.
중국정부는 2020년까지 R&D 투자를 당시 GDP 1.5%선에서 2.5%이상으로 확대하고, 대외 기술의존도를 30% 이하로 감소하며, 특허출원 세계 5위내 진입하자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 예산을 늘리고 전략산업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했다. 2011년 기준 중국의 R&D 투자액은 전 세계 R&D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러한 결과가 수출 점유율 1위 품목 수, 첨단품목 수출 비중, 국제특허 등록수 등의 지수로 나타나고 있다.
더욱 우려스러운 부분은 중국이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전략산업분야가 우리와 많은 부분 겹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1년 우리나라가 수출시장 점유율 1위를 내준 26개 품목 중 12개를 중국이 가지고 갔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한 61개 가운데 13개 품목에서 중국이 2위에 올랐다.
전경련은 우선적으로 자체적인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우리가 중국보다 비교우위인 분야인 상용화 기술이나 비즈니스 모델 등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더불어 우리기업들이 첨단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경련 엄치성 국제본부장은 "우리기업들도 중국 내수시장과 서비스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새롭게 짜야할 것"이라며 "이런 추세로 가다가는 13억 인구의 중국 시장은 그림의 떡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