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원내지도부 "대화 진행...그러나 위법사항 협상 안해"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3-08-01 15:20:0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 새누리당 원내지도부는 1일 국정원 국정조사가 증인채택을 두고 이견 차이를 보이며 파행을 빚고 있는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는 한편 향후 민주당 측과의 대화를 진행해 국정원 국정조사를 정상화시킨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러나 민주당측에서 증인·참고인 명단 채택과 관련해 강제동행명령 등 위법 사항을 주장할 경우에는 협상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전날 민주당측에서 국정원 국정조사 증인채택 문제를 빌미로 장내외 투쟁을 선언한 것은 심히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오늘이라도 당장 민주당 지도부와 만나서 증인 문제를 포함해 모든 가능성 놓고 대화를 나누겠다"고 밝혔다.


최 원내대표는 "국정조사 과정에서 여야간 의견 차이는 있기 마련이고 그 차이를 좁히기 위해서 협상을 하는 것"이라며 "그것은 이번 국정조사 뿐 만 아니라 모든 국정조사에서 그랬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국정조사와 관련해 여야 원내지도부는 인내심을 갖고 물밑에서 협상을 꾸준하게 진행해왔고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비롯해 증인 채택 문제에 대해서도 상당한 의견 접근을 보인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느닷없이 동행명령 문제 등을 제기하면서 국정조사를 스스로 파탄내는 것을 보면 다른 정치적 노림수가 있지 않은 가라는 의구심을 키울 수 밖에 없다"며 "이번 사태를 조장한 민주당 강경파는 국정조사가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자신들에게 유리한 정치적 공세의 장을 마련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 국정조사 증인채택 문제와 관련해 민주당과 새누리당의 입장 차는 크지 않다"며 "민주당이 초법적인 방안을 주장한다면 그런 문제에 대해서는 논의할 수 없다. 그런 문제만 아니라면 모든 문제를 두고 얘기를 나눌 생각을 갖고 있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 조사를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국정조사 특위가 파행으로 치닫고 있는 점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시하고, 간사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민주당이 강경파에 휘둘렸고, 이를 명분으로 국정조사를 파행시켰다"고 민주당에 책임을 떠넘겼다.


그는 "민주당이 갑자기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을 열어 동행명령장 발부을 확약하고,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를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민주당이 증인 채택을 막기 위해 간간히 언급하던 것을 갑자기 강하게 주장하면서 합의서 초안을 가져왔다"고 경과를 설명했다.


특히 그는 "민주당은 시나리오대로 움직여 장외투쟁을 하려는데, 실기하고 있다가 국정조사 파행 원인을 새누리당에 돌리고, 그걸 빌미로 장외투쟁을 하려는 의도가 명명백백하게 보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오늘 오전 12시까지 우리 측의 제안한 안을 받지 않으면 국정원에 대한 기관보고와 청문회를 취소시키겠다고 최후 통첩했다"며 "민주당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국면에서 실수했고 이번에도 막말 논란으로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을 취득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다만 그는 최경환 원내대표가 국정원 국정조사 정상화를 위한 양당 원내대표 회담을 제안함에 따라 "정청래 의원과 접촉하는 등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기현 정책위의장은 "민주당이 장외투쟁을 시작하겠다고 하는데 무덥고 짜증나는 여름에 공기를 더 불쾌하게 만드는 소식"이라며 "민주당은 대선을 통해 증명된 국민들의 선택을 거부하고 대선 불복 운동을 펼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천만의 국민은 먹고 사는 민생문제를 더 챙겨달라고 절절하게 요구하고 있다"며 "이런 생생한 국민의 목소리는 도외시 하고 도대체 어떤 허황된 진실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민주당을 비판했다.


여상규 황우여 대표 비서실장은 "민주당의 원세훈 전 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상대로 한 동행명령장 요구는 떼쓰기"라면서 "동행명령은 먼저 증인의 출석을 지켜본 뒤 가능한 강제처분이다. 소환도 안하고 동행명령장을 발부하는 것은 반 인권적 발상"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