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IHS Technology 사의 지난해 반도체 시장 조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반도체 시장 전체 점유율은 15.8%에서 16.2%로 상승했다. 또 지난해 반도체 생산액은 446억1500만 달러에서 515억16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지난 2010년만 해도 반도체 생산액과 시장 점유율은 437억2400만 달러, 14.2%에 그쳤다.
같은 기간 일본의 반도체 생산액과 시장 점유율은 크게 하락된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은 지난 2010년 624억5800만 달러의 반도체 생산액과 20.3%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434억3200만 달러, 13.7%로 떨어졌다.
특히 우리나라는 메모리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메모리 생산액은 342억9700만 달러로 전체 세계 시장 점유율 52.4%를 차지했다.
시스템 반도체 분야와 광·개별 소자는 각각 113억8100만 달러(5.8%), 58억3800만 달러(10.4%)의 생산액을 기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메모리 시장 강세, 모바일 반도체 경쟁력 강화 등에 힘입어 지난해 사상 최초로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시장 점유율 2위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