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재현 "안전관리본부 재난안전분야, 경력자 절반도 안돼"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05-11 14:38:1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안전행정부 안전관리본부의 재난안전분야에 경력자 비율이 절반 가량에 미치는 것으로 11일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백재현 의원이 이날 안전행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안전관리본부 공무원 인력현황'을 분석한 결과 안전관리본부 소속 인력 134명 중 기간에 관계없이 단 1번이라도 재난안전분야에 근무경력이 있는 직원은 79명(59%)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 국민안전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안전정책을 총괄하는 안전정책과가 42.1%, 어린이안전대책 등 생활안전을 총괄하는 생활안전과가 45.5%, 재난안전통신망과 재난관리·법령을 총괄하는 재난총괄과가 46.2%에 그쳤다.

대신 을지연습을 담당하는 비상대비훈련과 직원들의 재난안전 근무경력자 비율이 80%로 가장 높았고 이어 중앙안전상황실 75%, 승강기안전과 70%, 자원관리과와 안전개선과가 69.2% 순이었다.

백 의원은 "재난안전분야근무에 1번도 경험이 없는 실장, 국장, 과장, 서기관, 사무관들이 재난안전분야에 경험이 있는 주사, 주사보, 서기들의 업무를 지휘하고 있는 부서들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MB정부 때 수많은 재난사고에 이어 박근혜정부도 태안해병대캠프사고, 경주마우나리조트붕괴, 금번 세월호 참사 등 국가안전재난시스템의 문제점을 똑같이 경험하고 있다"며 "이는 재난 분야를 전문성이 없는 안행부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다는 점을 간과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백 의원은 그러면서 "안전재난관련 공무원은 중앙과 지방정부를 막론하고 순환보직시스템의 영향 없이 그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워가도록 하는 등 위기대응, 재난관리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조직과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