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무역유관기관 및 수출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통합무역정보서비스 추진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통합무역정보서비스는 기관별로 분산돼 있는 무역정보를 연계하고 국가별·품목별로 분류해 수출기업들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지금은 EU집행위, 산업부, 중소기업청, 생산기술연구원 등 12개 기관의 무역정보를 통합무역정보서비스(www. tradenavi.or.kr)에서 제공하고 있지만 산업부는 오는 7월까지 연계기관을 34개 기관으로 대폭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또 기존에 제공했던 관세·인증 등의 정보뿐 아니라 수출기업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바이어·구매제안 정보 등을 추가로 연계·제공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아울러 현재 운영중인 사이트에서는 세계관세기구(WCO)가 제정한 HS 6단위로만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통합사이트에서는 ‘의약품’, ‘전동기’ 등 단어 검색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산업부는 내수·수출초보·유망 중견기업별로 이용패턴을 분석해 수출기업의 역량별·수준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시작하기로 했다.
김재홍 차관은 “정보의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라며 “정보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되지 않는 정보들은 걸러내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통합무역정보서비스는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인 정부 3.0의 ‘개방·공유·소통·협력’의 정신을 잘 반영한 사례“라며 “정보력이 약한 수출중소기업이나 개인무역 창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