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방학 내년부터 다양해진다

고수현 / smkh86@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11-03 17:10:1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교육부, 봄·가을 단기 방학, 2월 등교기간 최소화등 4가지 모델 제시 [시민일보=고수현 기자]내년부터 방학이 학교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된다.

월별 단기 방학, 가을 방학 등 학교마다 특색있는 학사 운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3일 이같은 내용의 '2015학년도 학사 운영 다양화·내실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15학년도부터 월별 단기 체험(방학)형, 봄·가을 단기 방학형, 2월 등교기간 최소화형, 혼합형으로 유형화해 학교에서 여건에 따라 선택해 운영하게 된다.

이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나 기말고사가 끝난 후 수업 부실화 등 교육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이다.

월별 단기 체험형은 월별로 학교 교육활동 또는 휴업일을 1~2일 실시하는 형태다.

봄·가을 단기방학형은 1·2학기로 구분된 현재의 학기제를 유지하되 여름·겨울 방학을 조정해 봄·가을방학을 추가로 실시하는 유형이다.

2월 등교기간 최소화형은 여름·겨울방학 일정을 조정해 2월 학사 운영을 하지 않거나 2월 등교 기간을 종업식 또는 졸업식 등으로 한정해 학년말 취약시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혼합형은 월별 또는 분기별 방학, 그외 학년별 학사 일정 조정 등 2개 이상을 혼합해 운영하는 유형이다.

학교는 이같은 학사 운영 모형을 참고해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기 전 교원, 학생, 학부모 등의 의견을 수렴해 학사 일정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교별·지역별 환경 요인 등을 고려하고 인근학교와의 연계 운영,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학사 운영 취약시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일선 학교들은 학사 운영 취약시기에 '꿈끼 탐색 주간'을 정해 모든 학생들이 학업 및 시험부담에서 벗어나 각자의 꿈과 끼를 찾아볼 수 있는 진로탐색·체험 프로그램, 독서, 탐방 등 다양한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특히 고3 수능·중3 기말고사 이후 학사 운영의 정상화를 위해 사전에 탄력적인 교육과정을 편성해 상급학교 적응지원 프로그램,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