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 돌아오는 일시상환대출, 가계부담 커질 것”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1-22 17:51:4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조영무 연구위원, “시중 금리 상승세로 대출 갚지 못하는 가계 늘어날 듯”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최근 가계 부채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이후 가계부채가 부실화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22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일시상환대출의 규모가 많다. 49조1000억원에 달하는데 그러다보니 이러한 대출을 상환해야 되는 가계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해 말부터 계속적으로 대출 제도를 완화하던 금융기관들이 최근 들어 이제는 가계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 같다고 해서 대출에 보다 더 신중을 기하고 여기에 보다 더 적정성 여부를 강화해야겠다고 하는 태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또 올해 중반 이후로 미국이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더라도 우리나라의 대출 금리라든가, 채권 금리 이러한 시중 금리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결국 대출을 제대로 갚지 못하는 가계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앞으로도 가계 대출이 급증할 것이라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일단 금융기관들이 가계대출 증가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대출 심사에 있어서 적정성 여부에 대한 검사를 강화해야 된다는 금융당국 감독의 태도 변화도 최근 나타나고 있다”며 “지난해 하반기 급증했었던 속도는 다소 완화되겠지만 만기가 도래하는 대출의 규모가 많고 금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운데에서 가계의 상환 부담, 부실화 우려는 커질 것”이라고 거듭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핸 정책’에 대해서는 “가계부채의 총량 자체를 줄이려고 나선다면 부작용이 굉장히 클 것이고, 특히 가계의 부채 상황 부담이 커지면서 가계의 고통도 수반해서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총량 자체를 줄이려고 하기 보다는 증가속도를 적절히 유지하면서 가계부채의 궁극적인 해법은 결국 가계 소득을 늘려주는 것”이라며 “창업이라든가 취업 같은 것이 보다 더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이 반드시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