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결국 경남기업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 계열의 대우인터내셔널과 당시 정권 실세들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8일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임관혁)는 자원개발 비리 의혹과 관련해 이날 오전 8시 직후부터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에 있는 경남기업 본사와 주요 임직원 자택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에 나섰다.
광물자원공사는 2010년 경남기업의 암바토비 사업 지분을 비싼 값에 매입해 116억원의 손실을 입었고, 이 지분을 삼성물산과 현대컨소시엄에 저가로 매각해 회사에 총 932억 원의 손실을 입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암바토비 니켈광산 프로젝트’는 2006년 10월 광물자원공사가 국내 기업 7곳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있는 암바토비 니켈광산 개발사업에 1조9000여억원(전체 사업지분의 27.5%)을 투자한 사업이다.
하지만 사업 개발이 늦어지고 손실이 나면서 투자 기업들이 잇따라 사업에서 철수한 바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경남기업도 회사 자금난 악화로 결국 투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2010년 개발사업에서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광물자원공사가 경남기업에 대해 납부 의무기간을 연장해주고 대금 대납 등의 특혜를 줬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대우인터내셔널에 대한 검찰 수사도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인터내셔널은 2010년 경남기업으로부터 암바토비 지분 1.25%를 305억원에 사들여 4%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수천억원대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암바토비 니켈광산 지분 거래 의혹은 자원외교를 둘러싼 여러 의혹 중 하나로,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특위 소속인 김제남 정의당 의원은 “최소 8000억원의 손실이 예상되는 광물자원공사의 암바토비사업으로부터 경남기업이 사업을 철수하는 과정에서 이상득 전 의원의 개입 의혹에 대해 책임 있는 규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광물자원공사의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 개발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시작됐지만 90%에 가까운 사업비가 이명박 정부 시절 집중적으로 투입됐다. 2009년 2921억원, 2010년 396억원, 2011년 2090억원, 2012년 1949억원 등 해마다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을 쏟아부었다. 이는 당초 2513억원이던 투자비가 공사 지연과 인건비 인상 등을 이유로 8차례나 증액을 거치며 1조4737억원으로 불어났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친이계 좌장 격인 이재오 의원이 이날 불만을 토로했다.
이 의원은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어느 정권이든지 정권을 잡고 놓을 때까지 부패는 척결해야한다. 그리고 부패문제에 대해서 관용을 베풀 그런 국민도 없고 정치인도 없지 않느냐”면서도 “권력 내부의 부패를 청산하지 않고 안으로부터의 부패는 눈을 감고 밖으로의 부패만 손을 대니까 그때만 모면하면 그만이라는 풍조를 만든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자신이 부패 척결을 반대하는 것처럼 비춰지는 것에 대해선 “내 별명이 청렴 전도사”라며 “내가 부패 척결에 반대한다고 당사 와서 데모하고 그러면 되겠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