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식, “‘의과학자 육성 지원 사업’ 지원금 지급 후 진로 이탈”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7-02 15:29:0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사업대상자들 진로 이탈 경위 파악해 규정강화 방안 마련해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의과학자 육성 지원 사업’이 실질적인 의과학자 육성 유도책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업 실효성에 대한 지적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조정식 의원(경기 시흥을)은 2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의과학자 육성 지원 사업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 의원에 따르면 사업이 시작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이 사업의 대상자는 총 142명으로 총 79억원의 국가예산이 지원됐는데, 가장 많은 금액을 지원받은 학생의 경우는 6년간 약 1억3000만원, 연평균 2000만원 이상을 지원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지원을 받고 졸업한 61명 가운데 절반가량인 27%(44.3%)이 졸업 후 진로를 이탈해 일반 의사로 근무하거나 전문의가 되기 위해 수련 과정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34명(55.7%)만이 기초의과학 분야에 진출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조 의원은 밝혔다.

진로를 이탈한 학생 27명에게 지원된 국고는 18억원에 달하는데, 학교별로는 차의과대(3억2300만원)에 진로이탈 학생들에 대한 지원금이 가장 많이 지급됐으며, 전북대(3억1700만원), 전남대(2억2000만원)가 뒤를 이었다.

차의과대의 경우 전체 지원 학생 5명 중 4명이 졸업했으며, 졸업자 중 3명이 진로를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대의 경우 전체 지원 학생 10명 중 4명이 졸업했으며, 졸업한 4명의 학생 모두 진로를 이탈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 의원은 “진로 선택을 전제로 한 장학사업들은 진로 이탈시 기 지급한 장학금을 회수하거나 근무기간 의무 등을 명시함으로써 진로 이탈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는데 ‘의과학자 육성 지원 사업’은 별다른 규제 방안 등을 두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과학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의과학자 양성에 대한 투자와 필요성에 적극 동감하지만 현재와 같은 교육부 사업운영 행태로는 대한민국을 선도할 의과학자 배출을 기대할 수 없다”며 “사업대상자들이 진로를 이탈하게 된 근본적인 경위를 파악해 실질적인 유도책과 규정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