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에 수여되는 명예박사학위 증가”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10-05 14:42:4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정진후 의원, “명예박사 학위 제도의 취지가 무색해질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국립대학에서 인류문화 및 학술 발전에 특별한 공헌을 했거나 국가나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한 자에게 수여하는 명예박사를 최근 들어 정치인에게 수여하는 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5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전국 26개 국립대학으로부터 설립 이후 현재까지 명예박사 수여 현황을 받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 의원에 따르면 명예박사를 수여받은 정치인들은 대부분 해당 대학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 출신 국회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이었다.

1948년 서울대학교에서 ‘더글라스 이 맥아더’ 극동군사령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한 이래 현재까지 명예박사를 받은 인원은 865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절반이 넘는 484명은 2000년 이후에 학위를 받았다.

2000년 이후 명예박사학위 수여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정치인 및 관료 출신들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주는 경우도 늘어났는데, 1948년 이후 정치인 및 관료 출신 중에 명예박사 학위를 받은 경우는 144명이었다.

또 명예박사 학위를 받은 정치인 및 관료 중 정치인이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현재까지 모두 108명으로 이중 69.4%에 달하는 75명이 2000년 이후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치인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가장 많이 수여한 국립대는 목포대와 전북대로 모두 11명이었고, 공주대가 그 다음으로 많은 10명에게 수여했다.

2곳 이상의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은 정치인은 모두 13명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정의화 국회의장, 정몽준 전 의원이 3곳의 국립대학에서 받았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이명박 전 대통령, 새정치민주연합 박병석 의원, 박준영 전 전남도지사 등이 2곳의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대학들이 정치인들에게 수여한 명예박사 학위 현황을 보면 상당수가 해당 대학교의 지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 정치인이라는 점에서 명예박사 학위가 실질적 공적보다 대학의 이해와 관련돼 있다는 오해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정 의원에 따르면 실제로 김무성 대표의 경우 부경대와 한국해양대로부터 학위를 받았는데 모두 지역구인 부산에 위치한 대학이었고,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명예박사학위를 받은 정치인 19명 중 대부분이 지역구와 대학이 밀접하게 연관돼 있었다.

정 의원은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도 국가 발전과 학문 발전에 훌륭한 공적을 쌓았을 경우 명예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지만 국립대가 지역발전에 기여했다는 이름으로 해당 지역의 정치인들에게 명예박사를 너무 많이 수여할 경우 명예박사 학위 제도의 취지가 무색해질 것”이라며 “충분한 사전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