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올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예산 4조9393억 투입키로

채종수 기자 / cjs7749@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4-09 23:58:0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운영등 신규사업 37억 투자

[수원=채종수 기자]경기도가 올해 저출산 및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총 4조9393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도는 최근 도청 제1회의실에서 이같은 주요사업을 점검하는 저출산ㆍ고령사회 대책위원회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아울러 대책위에서 향후 인구 위기에 대응할 정책 발전 방안 등을 모색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저출산ㆍ고령사회 관련예산은 총 4조9393억원이다.

이중 저출산분야는 80개 사업 2조6675억원, 고령사회분야는 50개 사업 2조2708억원, 대응기반 강화분야는 9개 사업 10억원이다.

이 가운데 도와 시ㆍ군 자체사업비가 2조1647억원으로 44%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책위 참석자들은 저출산이 여성과 보육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주택, 일자리, 복지 등 도정 전반에 걸쳐 함께 풀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

또한 청년실업, 만혼화와 관련해 주거, 일자리 등을 저출산 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육아휴직률, 가족친화기업수, 양성평등지수 등 저출산 관련 계량적 지표를 개발, 축적해 출산친화적 환경으로 개선됐는지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도는 올해 도 자체 신규사업으로 공공산후조리원 설치ㆍ운영, 일하는 청년통장, 공보육 확충 시범사업, 저출산 위기극복 릴레이 토론회, 결혼장려 인식개선 사업, 대학창조 일자리 센터 운영지원 등 7개 사업에 37억7800만원을 투자한다.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는 대책위에서 “2020 인구절벽을 목전에 두고 있으나 2015년 합계출산율은 1.27명으로 여전히 낮다”며 “경기도 저출산ㆍ고령사회 시행 계획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경기도 역량을 결집해 해법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책위는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 주재로 최진호 아주대학교 명예교수, 조소영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김을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정형옥 여성가족연구원 연구위원을 비롯해 도 저출산ㆍ고령사회 관련 부서 실무자 등 총 2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