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자를 둘러싼 논문 관련 의혹이 단순한 ‘표절 논란’을 넘어, 공정성, 윤리성, 책임성이 요구되는 교육부 장관 자질 논란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교수ㆍ학술 단체 연합체인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은 17일 성명서를 통해 “이 후보자의 해명은 교육자로서의 자격을 스스로 부정한 것”이라며 “제자가 작성한 학위 논문을 거의 그대로 옮겨 실명 게재하고도 ‘기여도’ 운운하며 자신을 제1저자라고 등재한 것은 연구윤리를 정면으로 위반한 것”이라며 직격했다.
특히 “김건희씨 논문 표절을 비판하던 민주당이 더 심각한 연구 부정행위에 침묵하거나 검증단을 공격하는 건 파렴치한 정치적 이중성”이라며 “여권의 이중적인 태도에 분노한다”고 질책했다.
논란이 커진 건 이 후보자 논문을 전수조사했던 검증단이 전날 2017년 ‘한국가속기학회지’ 제18군 4호에 실린 ‘방사광 가속기 기반 실험연구의 빔라인 활용도 제고 방안’ 제하의 이 후보자 논문을 대표적인 문제 논문으로 지목하자 이 후보자가 “관행”이라고 적극 해명에 나서면서다.
실제 이 후보자가 제1저자로 등재된 해당 논문은 제자 홍 모씨의 2016년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석사 논문과 오탈자 표기 오류까지 동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검증단은 “(제자의 석사논문과 비교해)표절률 80% 이상, 오탈자 및 수식까지 동일하다”며 “지도교수로서 제자의 학위 논문 내용을 거의 그대로 옮겨 실명 학술지에 발표하고도 자신을 제1저자로 등재한 것은 국제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연구윤리 위반”이라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이런 식의 논문 저자 표기는 ‘가짜 연구자’의 전형”이라며 “실험을 하지 않은 교수가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것은 명백한 ‘기여도 과장’이며, 교육자로서 자격이 없다”고 직격했다.
그러나 해명에 나선 이 후보자는 “이공계에서는 연구 기여도를 따져 제1저자를 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라며 “제자도 동의했다”고 강변했다.
이 후보자는 전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제자들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했고, 제가 더 많이 기여해 제1저자로 등재된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체 논문 중 약 30% 정도가 그런 사례”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같은 해명은 이공계 교수들과 대학원생들의 반발기류를 전하는 야당측 인사 청문위원들을 통해 또 다시 반박됐다.
실제 김민전 의원은 “점심시간에 이공계 교수들한테 전화가 쏟아졌다”며 "‘내가 연구 과제를 따와서 학생에게 실험하게 하고도 제1저자로는 학생 이름을 넣었는데, 그럼 우리는 바보냐’고들 하더라“고 밝혔다.
서지영 의원도 ”한 이공계 박사과정 학생이 제보했다“며 ”‘실험을 한 학생이 제1저자, 교수는 교신저자가 되는 게 일반적인 구조인데, 교수 제1저자는 본 적이 없다’고 했다“고 지적했다.
친 정부 성향의 언론조차도 일제히 이 후보자를 비판하는 사설을 통해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실제 중앙일보는 ”강선우ㆍ이진숙 인사 실패를 솔직히 인정하고 인선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이 국민 앞에 겸손한 자세“라며 ”자진 사퇴가 답“이라고 밝혔다.
한겨레신문도 ”제자 학위논문을 오탈자까지 그대로 베껴 실명 논문으로 게재해놓고도 표절을 부인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스스로 교육 수장에 적합한지 돌아봐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