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 북일면 고분군 국가사적 지정 추진

정찬남 기자 / jcrs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8-27 11:28: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학술대회서 논의

관광자원 활용 방안 구상

 

[해남=정찬남 기자] 전남 해남군은 국내 최대 규모의 장고형고분 등이 분포하고 있는 북일면 일대 고분군의 국가사적 지정을 추진한다.


사적 지정 대상 고분은 방산리 장고봉고분과 독수리봉 고분을 비롯해 신월리 방대형고분, 내동리 밭섬고분, 용일리 용운고분 등으로 모두 해남군 북일면 일원에 산재해 있다.

군은 지난 2021년부터 지속적인 발굴조사와 정밀지표조사를 통해 각 고분군에 대한 자료를 확보해 나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 국가사적 지정 추진으로 역사적 가치를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조사 결과 북일면 일대의 고분은 전방후원형, 원형, 방형, 즙석분 등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고, 목관묘, 석곽묘, 석실묘 등 시기별 특징적인 매장시설이 확인됐다.

그동안 북일면 일대에는 형태와 매장 주체시설 등에 왜의 요소를 가진 고분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바닷길을 관장하는 현지 집단에 의해 4세기 대에 축조된 독수리봉고분이 확인되면서 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마한~백제에 이르는 묘제의 변천사에 따라 한중일 대외교섭사가 재조명된 것은 물론 해남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한 현지집단에 의해 선택적 채용·변화됐음을 보여주는 연결고리가 찾아졌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로 꼽히고 있다.

북일면 고분군은 전방후원형인 장고봉고분, 분구 전체를 할석(깬 돌)으로 덮은 신월리고분, 분구에 2열의 즙석(봉토의 위쪽에 한두 겹만으로 얇게 펴서 깐 돌)을 한 밭섬고분, 산 정상부에 위치한 독수리봉고분 등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고분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와 관련, 북일면 일대 고분군의 성격을 밝히고 국가사적 지정 등 활용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학술대회가 지난 25일 해남문화예술회관에서 개최됐다.

학술대회는 ‘해남지역의 고대문화’를 주제로 한 최성락 목포대학교 명예교수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4개의 주제발표와 전문가의 토론을 통해 북일면 일대 고분의 성격과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군은 학술대회에서 논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북일면 고분군에 대한 국가사적의 지정 신청을 추진해 나가는 것은 물론 향후 문화유산 보존과 관광자원 활용방안을 구상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