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민주당은 지난 7일 법원의 윤 대통령 구속취소 결정 직후부터 날마다 비상 의총을 열고 헌재 선고 시점, 투쟁 방식, 심우정 검찰총장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탄핵 추진 여부 등 주요 쟁점을 두고 갑론을박을 벌여왔다.
하지만 선고 촉구를 위한 투쟁 방식을 둘러싼 견해차로 의견 취합이 쉽지 않았다.
일각에서 ‘의원 전원 단식’ 주장이 나오기도 했으나 결국 ‘천막농성’과 ‘거리투쟁’을 하자는 원내지도부 의견으로 조정됐다.
이에 대해 국회 탄핵소추단에 속한 모 의원은 “법조계에서는 무난하게 8대 0 (탄핵)인용을 예상하는데 그렇게 불안해하는 근거가 무엇이냐”고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 석방 이후 뜨거운 주제로 부상한 심우정 검찰총장과 최상목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 추진 여부를 두고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강경파 의원들이 “지금 당원들과 국민의 불안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며 “뭐라도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탄핵 추진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지만 “탄핵안을 발의했다가 괜히 대선 직전에 (헌재에서)기각 결과가 나오면 역풍만 맞을 수 있다”며 “아무런 실익이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특히 한 중진 의원이 “매번 지도부에 부담이 되니 이번에는 탄핵에 찬성하는 의원들이 탄핵소추안을 자율적으로 공동발의하자”고 제안했다가 ‘탄핵안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의원들이 자칫 당원들의 ‘좌표찍기’ 대상이 될 우려가 있다‘는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민주당 내부에서 ’의총 무용론‘에 힘이 실리는 배경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