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계 잠룡들, ‘100% 국민 경선 야권후보 선출’ 혁신당 요구에 ‘화답’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03-05 12:05: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부겸 “정치 주도권 쥐고 대한민국 미래 설계할 수 있는 좋은 제안”
김동연 “정권 교체 위해 대승적 결단 필요...민주당, 조속히 결정해야”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이 임박해지면서 5일 현재 조기 대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야권의 신경전이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최근 조국혁신당이 모든 야당과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100% 온라인 투표 방식의 ‘오픈프라이머리’(국민완전경선제) 등을 통한 단일 후보 선출안을 제시한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 비명계 잠룡들이 동조하는 목소리를 내면서 유력 주자인 이재명 대표 압박에 나선 것이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민주당이라는 틀보다 훨씬 넓은 국민적 에너지를 모을 수 있다“면서 ”집권하더라도 정치 주도권을 쥐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좋은 제안“이라고 평가했다.


전날 오후 CBS 라디오에 출연한 김 전 총리는 ”이 대표가 야권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으니 조금 폭넓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를 통해)야권내 분열 요인들을 한 번에 다 녹일 수 있다”면서 “진영 자체의 힘을 상당히 넓고 튼튼하게 만들 기회"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김동연 경기지사도 ”후보 경쟁력을 끌어올려 대세를 만들 확실한 방안"이라며 “비전과 정책으로 경쟁하는 새로운 장이 마련될 것”이라고 반겼다.


김 지사는 페이스북을 통해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기득권을 내려놓는 대승적인 결단이 필요하다. 다 함께, 이기는 길, 새로운 길로 가자”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얼마 전 이재명 대표와 만나서도 선거연대와 공동정부를 제안한 바 있다”며 “민주당의 활발한 논의와 조속한 결정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당내 비명계도 페이스북을 통해 목소리를 보탰다.


전해철 전 의원은 “실질적인 통합을 위한 좋은 의견으로 민주당에서 적극 검토해 수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 과정에서 경선 흥행과 본선 경쟁력, 외연 확대를 기대할 수도 있다"고 긍정 평가했다.


특히 "민주당이 다른 야당과 동등한 조건에서 국민의 선택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 누가 승리하든 진정한 야권 후보 자격을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기대 전 의원도 "지지층을 확장해야 하는 민주당은 조기 대선 경선을 역동적이고 모두가 화합ㆍ통합하는 장이 되도록 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라며 "민주당이 살길은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이라고 힘을 실었다.


그러면서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이라는 아주 유리한 국면이 조성되었는데도 이재명 대표의 지지율이 30%대의 박스권에 갇혀 있어 정권교체가 어렵지 않겠느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크게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안과 완전국민경선제로 후보를 선출하는 안을 놓고 고민하는 모습이다.


특히 일부 친명계를 중심으로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권리당원을 50% 이하, 권리당원이 아닌 유권자를 50% 이상 경선에 참여시키고 선거인단 구성 비율과 방법은 별도로 정하도록 한’ 당헌 98조를 후보 경선 근거로 완전국민경선제를 위한 선거인단 구성이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한민수 대변인은 지난 3일 SBS 라디오에서 “헌재에서 탄핵이 인용돼 60일 이내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 자체 경선은 한 달이 채 안 될 것”이라며 “그렇게 된다면 현재 마련돼 있는 제도로 서둘러 진행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 중진 의원은 언론 통화에서 “조기 대선의 경우 30일 이내에 경선을 치러야 하는데 야권 전체를 묶어서 하거나, 새롭게 경선 룰을 정하기엔 시간이 촉박하다”며 “재고의 가치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당원 중심의 정당을 표방하고 있는 만큼 당원을 경선에서 배제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며 "당원 반영 비율을 축소하는 정도는 협상 테이블 의제로 올릴 수는 있어도 당원을 완전히 빼 버리는 것은 정당 민주주의에 배치된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