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일본ㆍ미국 순방에 동행하고 있는 위 실장은 24일 일본 도쿄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한미일 협력 강화를 실현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하면서 “우리가 일본과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에 대해 미국도 긍정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한미일 협력은 미국도 중시하는 과제”라며 “그동안 한일 관계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이 한미일 3국 협력을 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번에는 우리가 주도적으로 일본에 이어 미국을 방문하는 모습을 연출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의 이번 방일을 두고 일본 언론은 ‘서프라이즈’라고 했고, ‘한국 보수 정권에서도 전례가 없던 일’이라는 일본 정부 관계자의 발언도 있었다”라며 “이 같은 좋은 분위기를 바탕으로 미국과의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회담 내용과 관련해 “양 정상은 소인수 회담의 상당 시간을 대미 관계 및 관세 협상 등에 할애했다”며 “이시바 총리가 (미일정상회담에 대한)경험이나 그동안 느낌 점을 우리에게 도움말 형태로 얘기하는 방식이었다”라고 밝혔다.
또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양국의 경제통상 분야를 어떻게 안정화하느냐, 한미 동맹을 어떻게 현대화하느냐, 어떻게 새로운 협력의 영역을 개척하느냐 등 3가지가 주요 논의 주제”라면서 “이 과정에서 한일 정상회담에서 나눈 대화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서는 “논의가 있었으나 구체적인 현안에 대한 논의라기보다는 ‘이 사안을 어떻게 다루면 좋을까’, ‘어떻게 다루는 것이 현재와 미래의 협력을 추동할 수 있을까’ 등 철학적 인식에 기반한 접근으로 논의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일본이 과거사 문제에 전향적 입장을 보일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금방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다. 일본이나 한국내 정치 지형 등도(살펴야 한다)”며 “각종 여건을 잘 감안해 앞으로도 선순환적 성과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국 정상은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뒤 ‘공동언론발표문’을 채택했다.
양 정상은 발표문에서 “국제사회의 다양한 과제에 대해 파트너인 한일 양국이 협력해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며 “인도ㆍ태평양 지역을 포함한 역내 환경 변화와 새로운 통상질서를 고려해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급변하는 국제정세 흐름 속에 흔들림 없는 한일ㆍ한미일 협력을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한일관계 발전이 한미일 공조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계속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