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쟁점인 '개혁안 추진 주체'에 대한 견해차 때문이다.
송 원내대표는 당 혁신위원회를 조속히 구성해 전반적인 구조 개혁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김 위원장은 혁신위 논의를 차기 지도부에 넘겨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18일 현재 국민의힘 당헌 제 25조에 따르면 혁신위 등 당 특별위원회 설치는 당 대표의 권한이다. 이에 따라 김 비대위원장 임기가 종료되는 이달 말까지는 혁신위 출범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송 원내대표는 전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신속하고 파격적인 쇄신을 위해 혁신위 구성을 조속히 추진하겠다"며 "혁신위에서 김 비대위원장이 제안한 5대 개혁안과 당의 전반적인 시스템 개혁까지 포함하는 구조개혁을 논의하고 당내 의견을 두루 수렴하는 개혁안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3ㆍ4선 이상 중진 의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당내 의견을 수렴하는 등 혁신 추진의 명분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김 비대위원장은 “제 거취가 결정되면 당은 대표 권한대행 체제이거나 새 비대위가 들어선다”며 “혁신위는 그 체제에서 다루는 게 맞다”고 반박했다. 김 위원장은 또 “당원 여론조사를 통한 지도부 신임 확인은 쇄신의 출발점”이라며 “이를 거부할 명분이 없다”고 주장했다.
지도부 간 입장 차를 두고 당내 중진 인사들도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나경원 의원은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혼자 발표하는 형식은 비민주적”이라며 송 원내대표에 힘을 실은 반면 오세훈 서울시장은 “임기내 사퇴하지 말고 개혁안을 관철하라”고 김 위원장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송 원내대표가 당선 직후 언급한 '조기 전당대회' 구상에 대해서도 일부 의원들이 경선 후유증과 당 내홍 심화를 우려하며 부정적 입장을 내비치고 있어 당 쇄신 구상이 본궤도에 오르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