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전날 의총에서 “민주당의 입법 독재를 막아내고 항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국회 해산"이라며 "적어도 이 시점에선 국회의원 총사퇴 결의를 다져야 한다"고 요구한 데 대해서도 "개인 의견일 뿐"이라고 이를 일축했다.
국민의힘 김대식 원내수석대변인은 12일 SBS 라디오에서 “(어제)의원들은 ‘의원직 총사퇴’ 주장에 대체로 호응을 안 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수석대변인은 "22대 국회 개원할 땐 민주당이 법사위 등 상임위원장을 독식하려고 해 국민들에게 우리 결기를 보여주자는 의미로 제가 '의원직을 사퇴하자'고 했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또한 당 소속 의원들이 5명씩 헌재 앞 릴레이 농성을 이어가고 있는 데 대해서는 "오늘 아침에 보니 53명, (108명 의원의)절반 정도가 참여하겠다고 했다"며 "이 역시 의원들 개개인의 의견이다"라고 거듭 선을 그었다.
다만 그는 "국민의힘의 릴레이는 헌법재판소를 흔들기 위한 것이 아니라 법률과 원칙에 따라서 헌재가 양심을 걸고, 명예를 걸고 현명한 판단을 해달라고 국민 목소리를 전달하는 차원으로 이해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민주당의 장외집회에 대해서도 “당 지도부는 민주당의 단식과 삭발 등은 시대적으로 맞지 않고 임팩트가 적다고 보고 있다”며 “민주당이 탄핵 찬성 집회에 총력전을 다하고 있지만, 얼마나 모였냐, 이제는 시대적 상황과 패러다임이 바뀐 것”이라고 혹평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국회의 본령인 민생과 경제를 내팽개치고 오로지 장외 정치 투쟁에 몰두하는 데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에 대해서 의총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면서 “당 지도부는 지금과 같은 기조를 유지하기로 결론을 내렸고 의원들께서 양해해 줬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장외 투쟁을 하거나 현장 방문 시위를 하는 것은 의원 각자의 소신에 따르면 된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대통령 탄핵안이 인용돼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에 대비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윤 대통령측과의 교감 아래 거리를 두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은 관저에서 독서나 산책을 주로 하면서 몸을 추스르는 데 집중하는 것으로 안다”며 “당분간은 별도의 입장 발표 없이 차분하게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한편 윤상현 의원을 비롯한 박대출ㆍ장동혁ㆍ박성민ㆍ김선교ㆍ이헌승ㆍ강승규 등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날 오후부터 개별적으로 헌재 정문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시작한 상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