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 프레임처럼 탄핵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계엄을 옹호한 것처럼 몰아 법적 책임을 이야기하고, 사과를 종용하고, 거취를 결단하라고 한다”고 윤 혁신위원장을 겨냥하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그러면서 “혁신위가 요구하는 사과는 사과가 아니다. 탄핵에 반대했고, 우리 당을 대선에서 지지했던 40% 국민에 대한 배신이자, 소신 없는 정치인의 자기부정일 뿐”이라며 “혁신의 본질과 방향부터 혁신이 필요하다”고 질책했다.
특히 나 의원은 “우리 당 지지층의 약 80%, 그리고 40%에 가까운 국민은 탄핵이 답이 아니라고 했다”며 “나도 절차적 민주주의에 대한 소신을 지키기 위해, 의사결정의 민주적 정당성이 결여된 탄핵엔 동의할 수 없어 그들과 함께 민주당에 맞서 싸웠다”고 항변했다.
이어 “그 힘이 바탕이 되어 40%가 넘는 대선 득표율을 얻을 수 있었고, 보수 궤멸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막아냈다”며 “탄핵을 반대한 모든 국민이 계엄을 옹호한 게 아니라 민주당의 줄 탄핵과 카톡 검열 등 반헌법적 발상을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판단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상계엄이란 파국적 결말이 어느 일방의 책임만은 아니라고 판단했던 것”이라며 “탄핵이 되고, 대선에 졌다고 해서 그런 국민의 뜻까지 모두 사라진 게 아니다”고 지적했다.
또한 “침묵하고 주저하고 방관하는 정치인들 사이 대신 나서 힘을 모아줬던 지지층과 당원들은 상처를 받고 있다. 당 지지율은 17.5%까지 추락했다”며 “이제는 혁신위까지 나서 반혁신 딱지를 붙이고, 공개적인 자아비판과 거취 표명을 요구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민주당이 눈엣가시처럼 여기는 사람을 제물 삼아 불출마 선언으로 쳐낸다고 내란당 프레임이 없어지지 않는다”며 “(과거에도)그런 방식을 거듭할 때마다 우리 당은 쪼그라들기만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확고한 보수 가치와 폭넓게 공감 받는 어젠다 없이 반민주 플랫폼으로 전락해 구심력 없이 분열하는 것, 그게 우리 당 문제의 본질”이라며 “압도적 힘을 가진 여당에 맞서기 위해 107명을 어떤 가치로 묶어낼지, 더 많은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어젠다를 어떻게 만들지가 혁신이 요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전날 “나경원ㆍ윤상현ㆍ장동혁 의원과 송언석 원내대표는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고 압박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