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선 승리의 최소요건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7-08-13 22:17:5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맹형규(한나라당 의원) 경선까지 이제 일주일 남았습니다.

거칠어지고 치열해진 후보간의 경쟁으로 국민들은 이제 경선 후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과연 이렇게 이판사판의 경선과정을 거친 후에 한나라당이 단합해서 온전히 대선을 치를 수 있을 것인가, 혹 당이 분열되는 것은 아닌가, 그래서 정권교체가 또 물 건너가는 것은 아닌가, 국민들은 불안한 마음으로 한나라당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중심모임은 대선관련 4차례의 세미나와 토론회를 거치며 정권교체를 갈망하는 분들의 충언을 들었습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당과 각 캠프가 다음과 같은 그릇된 인식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첫째, 경선에서만 이기면 된다는 생각.

둘째, 현재의 높은 당 지지도와 후보의 지지도가 승리를 가져올 수 있다는 생각.

셋째, 화합과 단합이 경선 후 자연스럽게 얻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

경선만 이기면 된다는 것은 자만입니다. 승자와 패자가 함께 본선 승리를 위해 매진해야 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이길 수 있는 것입니다. 중심모임은 제기되고 있는 여러 우려를 불식시키고,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들의 염원을 실현하기 위해 당과 각 캠프가 유념하고 실천에 옮겨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첫째, 각 후보들은 경선 결과에 깨끗이 승복해야 합니다.

패자는 경선과정과 그 결과에 관한 문제제기를 해서는 안 됩니다.

승리한 후보에 대한 어떠한 흔들기나 흠집내기도 결국 해당행위가 되고, 당이 경선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을 경우 본선에서의 승리를 바라볼 수 없게 됩니다.

결과에 깨끗이 승복한 패자는 국민들에게 박수를 받을 것이며, 국민들은 그것을 기억할 것입니다.

둘째,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는 득표 2위 후보에게 선대위원장직을 제안하고 당사자는 흔쾌히 수용해야 합니다.

현재의 사생결단식 대결은 경선에서만 이기면 패배한 다른 후보들의 도움 없이도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오판에 기인한 듯합니다.

그러나 지난 2번의 대선에서 한나라당이 패배한 요인이 ‘오만’ 때문이라면 이번 선거에서 우려되는 것은 ‘분열’이라고 많은 분들이 지적하고 있습니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습니다. 경선에 참여한 후보들 뿐 아니라, 당을 지지하는 모든 세력이 힘을 모아야 본선승리의 필요조건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 중심모임이 지난 6월26일 제안한 ‘공직후보심사단 제도’를 도입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합니다.

이 제도는 공천심사위 구성시 국회의원, 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추천된 당내외 인사들 중 추천을 가장 많이 받
은 인사들을 중심으로 후보인단을 구성, 당 지도부가 그 중 일정비율 이상의 심사위원을 선임하는 방식을 말합니
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총선 공천이 투명해지고, 당의 실력자로부터 공천을 독립시킬 수 있게 되어, 현재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편가르기나 줄서기의 폐단을 근절할 수 있을 것입니다.

치열한 경선과정을 통해 후보 간 감정의 골이 깊어졌겠지만, 경선 후 깨끗이 승복하고 서로 협조할 경우 그 경선과정조차 아름답게 기억될 것입니다.

치열하게 경쟁하되 결과를 흔쾌히 받아들이고 함께 승리를 향해 나아가는 것, 이것이 국민들이 바라는 새로운 한나라당의 모습일 것입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