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5월16일 새벽, 서울 남산에 있던 KBS는 육군소장 박정희가 이끄는 쿠데타 군에게 점령당했다. 이것이 이른바 5.16군사혁명이다.
이들은 방송국을 점령하고 혁명공약을 발표했다. “은인자중하던 군부는 드디어 궐기했다”로 시작되는 혁명공약은 그로부터 18년 동안 지속된 군부독재의 명분이었다.
왜 쿠데타 군은 방송국을 점령했을까. 방송은 총보다도 더 무서운 위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언론은 마약과 같은 중독성이 있다는 사실을 그들은 알고 있었다.
그때나 이때나 방송의 위력은 대단하다. 요즘 신문의 힘이 점차 시들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은 더욱 더 신문의 설자리를 좁게 만들었다. 방송을 장악하는 세력이 권력을 장악한다는 말은 틀리지 않다.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렇다. 바로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위원장으로 내정된 최시중씨 때문이다.
잠시 최시중씨의 경력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왜냐면 그래야 왜 이 분이 방통위원장으로 적격이 아닌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 대통령의 ‘측근중의 측근’이고 ‘고문중의 고문’이다. 포항출신에다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의 친구다.
이명박 대통령후보 선거대책본부의 상임고문을 역임했다. 갤럽의 회장을 지내고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의 전략을 사실상 기획하고 집행한 ‘6인회’의 좌장이다.
최시중씨가 이 대통령에게는 더 없이 소중한 존재일 수 있지만 국민에게도 그럴지는 자신이 없다.
방통위의 전신인 방송위원회는 무소속 독립기구로 위원장을 호선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방통위는 대통령의 직속기구로 위원 5명 가운데 위원장과 위원 2명을 지명해 과반수를 유지하도록 만들었다.
한국방송공사의 이사 선임권과 방송문화진흥회(MBC최대주주)의 임원 임명권을 갖는다. 마음만 먹으면 KBS와 MBC를 좌지우지 할 수도 있다.
왜 최시중씨는 방통위원장으로 부적격인가. 이미 지적한 것만으로도 그는 실격이다. 또 있다. 형평성이다.
참여정부 시절. 서동구씨는 노무현 후보의 언론고문을 했다는 이유로 KBS사장 취임 일주일 만에 낙마했다.
한나라당을 비롯한 조중동과 언론노조는 입을 모아 서동구씨의 KBS사장 임명을 반대하고 규탄했다. 언론노조와 한나라당은 대통령의 측근이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KBS의 사장이 되면 언론의 공정성을 해치기 때문에 안 된다고 했다.
그렇다면 최시중씨는 어떤가. 그는 서동구씨에 비할 바가 아닌 대통령 측근 중에서도 실세다. 그런 최시중씨는 KBS의 영향력보다 몇 배나 더 강력한 권한을 갖는 방통위원장 자리에 앉아도 아무 문제가 없단 말인가.
최시중씨는 말한다. “이명박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드는데 어떻게 생각하면 생을 걸었었다. 그렇지만 그것 때문에 편파적으로 위원회를 운영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생을 걸어 대통령을 만든 사람이 그를 위해 편파적 행동을 안 한다는 말을 믿으라는 것인가.
대통령 측근이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해서는 안 될 일이 있다. 바로 방송통신위원장은 대통령 측근이 앉을 자리가 아닌 것이다.
최시중씨가 방통위원장이 되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되리라는 것은 점쟁이가 아니라도 알 수 있다. 방송은 대통령 의중대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언론도 정치도 진실해야 한다. 정도를 가야한다.
아직 늦지 않았다. 잘못을 바로 잡는 사람에게는 박수를 보낸다.
실세나 측근은 절대로 방송통신위원장을 해서는 안 된다. 그게 정답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