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은 노태우 김영삼 전 대통령들의 느슨한 대북정책에 힘입어 소위 ‘고난의 행군’ 시기에 살아남았다. 당시 북한을 둘러싸고 강경 드라이브를 걸어 압박 작전에 들어갔다면 김정일 정권은 벌써 무너졌고 북한의 2천7백만 주민은 해방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노태우 김영삼 두 사람은 그렇게 하지 않았고 김정일은 기어코 다시 일어섰다. 그 김정일을 결정적으로 도운 이는 바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었다. 국민의 혈세와 다름없는 돈을 5천억 원이나 공물로 바치면서 그는 김정일을 만났고 ‘낮은 단계의 연방제’와 우리의 ‘남북연합’이 같다는 기상천외한 공동선언을 내놓았다. 그는 결국 노벨상을 받았다. 소위 종북좌파(從北左派)들과 전혀 공부가 안된 얼치기 진보세력들이 이를 두고 50년 분단사에 역사적 획을 긋는 거사(巨事)라고 칭송하며 난리굿을 벌여도 이 나라의 보수들은 침묵했다. 이제 핵 문제는 어느 당 어느 정치인도 어느 후보도 거론하지 않는다. 핵 프로그램 신고를 철저히 해도 이를 검증하여 비핵화를 확인하는 데 10년이 걸리는데도 우리 정치인 어느 누구도 염려하지 않는다.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는 이상, 핵우산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스스로 핵우산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노무현 전 대통령은 포퓰리즘에 젖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주장했다. 가만히 있어도 읍소할 판인 미국 앞에 삿대질을 하면서 전시작전통제권을 돌려달라고 시비를 건 꼴이었다. 핵우산을 걷어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한미연합사 해체에 앞장섰던 장군들은 지금 이명박 정권에서 무얼 하고 있나.
적어도 책임 있는 지도자라면 핵우산을 어떻게 펼칠 것이라는 이중 삼중의 대안을 국민 앞에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그 방법은 현재로서는 딱 하나다. 한미연합사 해체에 대해 미국이 재협상에 나서지 않고 우리에게 핵우산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그리고 북한의 김정일이 핵을 완전히 즉각적으로 폐기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핵을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다. 물론 이 결정은 최악의 국제정치학적 환경을 유발할 것이다. 그러나 나라를 생각하는 정치인이라면 적어도 핵자위권은 검토해야 마땅한 것이 아닌가. 그런데도 이 당연한 말을 그 어떤 보수 정치인도 입에 올리지 못한다. 아직도 진보좌파들의 이념투쟁에 주눅이 들어 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이 나라에 보수는 없는 것이다. 이 땅에 진정한 ‘부르주아’는 없고 사이비만 활개치고 있는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