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세븐도 아 옛날이여!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8-10-08 18:39:3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올 평균 2463만원 하락… 규제완화 정책 효과없어 올 들어 버블세븐지역이 평균 2,500만 원 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올 초(1월 첫 주) 버블세븐지역의 평균매매가는 8억 1,806만 원이었지만 현재(10월 6일)는 7억 9,343만 원으로 2,463만 원(3.01%)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동안 버블세븐지역을 제외한 서울과 경기지역은 각각 3,504만 원(4억 1,605만→4억 5,109만 원), 1,127만 원(2억 9,140만→3억 267만 원)씩 올랐다.

버블세븐지역은 올 들어 2월(78만 원) 한 달을 제외하고는 9월 말까지 매월 적게는 98만 원에서 많게는 527만 원까지 하락했고, 지난 8월에는 평균 매매가 8억 원선이 붕괴되기도 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목동이 8억 7,819만 원에서 8억 2,312만 원으로 5,507만 원(-6.27%)이 하락했고, 이어 분당이(-3,549만 원), 용인(-3,386만 원), 강남구(-2,467만 원), 송파구(-2,111만 원), 서초구(-1,235만 원), 평촌(-507만 원) 등의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특히 목동(-6.27%), 분당(-5.12%), 용인(-6.66%)은 하락률도 5~6%대로 평균 하락률(3.01%)보다 2배 이상 컸다.

목동의 경우 과거 집값 상승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컸던 것이 가격 하락폭을 가속화 시켰던 것으로 분석된다. 목동은 집값 폭등기였던 지난 2006년 한해 동안 43.74%(6억 2,325만→9억 3,625만 원)이 오르면서 용인(34.02%), 강남구(32.27%), 분당(23.27%) 등 다른 버블세븐지역보다 집값 상승률이 더 높았다.

또 분당과 용인의 경우 99㎡이상 중대형아파트의 비율이 각각 87%(6만 7,988가구 중 5만 9,408가구), 62%(9만 4,058가구 중 5만 7,660가구)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데다 판교입주와 광교분양까지 앞두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송파구에서는 문정동 올림픽훼밀리 185㎡가 15억 6,500만 원에서 13억 2,500만 원으로 2억 4,000만 원(15.34%)이 빠졌고, 목동 신시가지2단지 148㎡도 14억 2,500만 원으로 2억 2,500만 원(13.64%) 하락했다.

부동산뱅크 이정민 팀장은 “정부의 연이은 규제완화정책에도 국내외 경기 침체가 심하다 보니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지 않다”며 “현 상황에서는 규제완화보다는 경기회복여하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