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7일 기준으로 서울지역 매매가를 조사한 결과 매매 상한가가 분양가 이하로 형성돼있는 ‘마이너스 프리미엄’ 아파트가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8월 말 입주를 시작한 강동구 성내동 건영캐스빌(109㎡)은 2005년 12월 분양 당시 분양가가 3억9950만원이었지만, 현재 시세는 3억9000만원선으로 1000만원 정도가 마이너스 프리미엄이다. 소규모 주상복합 단지여서 매물도 적고 찾는 사람도 없다는 게 닥터아파트 측 설명이다.
로열층, 비로열층 구분 없이 모두 분양가 이하로 시세가 형성돼있어 대출이자 등 금융비용과 기회비용 등을 감안한다면 손해의 폭은 더 클 수밖에 없다.
성내동 신이모닝빌도 1개동 총 46가구 규모로 85㎡ A형의 매매가는 2억3000만∼2억5000만원 수준이어서, 매매 상한가 기준으로 분양가인 2억6220만원보다 1220만원 가량 싸다.
고가의 대형 아파트도 분양가 이하로 시세가 형성돼있다.
2004년 12월에 분양해 2006년 12월에 입주를 시작한 서초구 반포동 SK뷰는 228∼284㎡로 대형 아파트로만 구성돼 있는 단지로, 거래가 없어 시세 파악이 어렵지만 매도자들이 내놓은 가격이 모두 분양가선이어서 실제 거래 때에는 그 이하로 거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닥터아파트의 설명이다.
267㎡ 시세가 대략 21억∼23억원으로 분양가인 24억6120만원보다 매매 상한가 기준으로 1억6120만원 가량 더 낮은 상황이다.
도심권 역시 이같은 현상은 마찬가지로, 성동구 옥수동 경보이리스 122㎡와 132㎡ A형은 2003년 4월 분양 당시 분양가가 4억1000만원, 4억4500만원이었다. 그러나 현재 시세는 122㎡가 3억7000만원선이고 132㎡ A형이 4억2000만원선으로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각각 4000만원과 2500만원인 실정이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리서치 연구소장은 “깡통 아파트가 등장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매수자 부재현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경기침체로 인해 앞으로 아파트값이 더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매수자가 많아 섣불리 매매에 나서지 않고 있고, 특히 브랜드파워가 약한 소규모단지는 미래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 분양가 이하로도 거래를 하려 들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입주물량 홍수도 한 원인”이라며 “서울지역 올해 입주물량은 총 4만9362가구로 작년보다 1만5000여가구가 증가해 새아파트 물량이 많아지면서 매수자들의 선택폭이 넓어졌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