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총장 권한 강화는 시대역행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8-12-22 18:11:3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정현 (한나라당 의원) 당 사무총장 권한을 강화한다고 한다.

백해무익한 일이다.

즉각 중단해야 한다.

정치후퇴고 반개혁이며 시대역행이다.

당 사무총장이 행정, 인사, 재정, 조직, 홍보, 전략기획 기능까지 다 관장 하는 것은 전문성과 효율성 차원에서 분명히 문제가 있다.

2005년 당 혁신위가 사무총장 권한을 분산 시킨 이유다.

홍준표 당시 당 혁신위원장이자 현 원내대표는 사무총장 1인 체제를 독재정권의 산물로 치부했다. 분업을 강력하게 역설했었었다.

당 사무총장이 조직과 돈과 공천을 다 관장하면서 당 대표 다음의 실세로 군림하던 시대는 끝을 내자는 것이 사무총장 권한분산 혁신규정을 만든 주된 이유였었다.

같은 시기에 사무총장 권한을 강화했던 열린우리당은 정권을 잃었고 사무총장 권한을 분산 시킨 한나라당은 지방 선거에 완승했으며 당 지지율이 53.7%에 이르렀고 마침내 정권을 잡았다. 정치혁신의 승리라고 봐야 한다.

그런데 다시 사무총장 권한을 강화하자는 것은 정치개혁을 포기 하겠다는 것이고 원내중심 정당 대신 당리당략중심 당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거수기 정당, 리모컨 정당을 자처하고 국회를 통법부화 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난을 들을 수도 있다.

사무총장 권한 분산은 불과 3년전 홍준표 당시 당 혁신위원장을 중심으로 2005년 2월 21일부터 11월 17일까지 약 9개월 동안 무려 57차례나 전국 16개시도 순회 국민 공청회와 의원총회, 의원 연찬회, 당직자 회의를 거쳐 만든 당 혁신위 안의 중요한 일부다.

당시 이 혁신위 안은 한나라당이 차떼기 등으로 다 죽어 갈 때 국민에게 우리 변하겠으니 마지막 한번만 더 기회를 달라고 절박하게 호소했던 그 변화의 약속 내용이었다.

따라서 이것은 한나라당의 정치개혁헌장이고 한나라당의 대국민 약속이다.

국민과 당원이 참여했고 피 흘릴 비장한 각오를 다져가면서 만들었었다.

소장파 의원들이 한자도 고칠 수 없다던 바로 그 규정이다.

이렇게 굳건하게 했던 대국민 약속을 이렇게 힘든 과정을 거쳐 만들었던 정치개혁안을 편의에 따라, 상황에 따라, 사람에 따라 마치 휴지조각 버리듯이 아무렇지도 않게 마치 손바닥 뒤집듯이 가볍게 바꾸는 것은 용납 안 된다.

더 이해 안되는 것은 당시 혁신위안을 만드는데 참여 했던 분들의 침묵이다.

그 한 분 한 분들이 지금 어떤 위치에 있는지 주목한다.

실천과 무관하며 불가항력의 위치에 있는지 충분한 능력과 기회를 갖고도 애써 외면하고 있는지 말이다.

특히 홍준표 원내 대표는 당시 혁신위안을 주도적으로 만들었다.

공동묘지의 평화를 깨겠다며 9개월을 노력해서 만든 혁신위안이 제대로 이행 되는지 끝까지 책임 질 책무가 있는 분이다.

홍준표 원내대표의 정치적 실천력을 가늠해 볼 일이다.

홍 대표에게 달렸다. 당 혁신안의 존폐가 말이다.

정치는 신뢰다.

국민에게 신뢰를 얻으면 반드시 흥한다.

그러나 약속을 헌신짝 취급하면 국민이 그들을 반드시 버린다. 철칙이고 역사다.

사무총장 권한 분산은 충분한 이유와 명분이 있다.

차제에 다른 혁신위 규정에 대해서도 하나하나 점검해서 이제라도 빈틈없이 시행해야 한다.

그것이 한나라당 정권이 성공하는 길이다.

그것이 신뢰정치이고 그것이 바로 진정성 있는 당 화합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