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참사를 애도하며...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9-01-27 15:23:0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진 영(한나라당 의원) 먼저 용산 재개발 지역의 비극적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부상자들께 깊은 애도와 위로를 표합니다.

사고가 난 재개발 제4구역은 제가 수 년 동안 이발하러 다니던 대중목욕탕인 '용산탕' 바로 옆 건물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새 도시를 건설하려는 주민들의 의지가 불타오르고 희망의 꽃이 피어나야 할 곳이었습니다.

저는 사고가 일어난 순간부터 현장을 지켜봤고 지난 1월 22일에는 순천향병원에 마련된 빈소를 찾아 조의를 표하였습니다.

유족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지만, 그들의 슬픔과 분노는 고인들의 넋을 위로하려는 조문마저 막고 있었습니다.

저 역시, 사고를 미리 막지 못한 잘못을 지울 수 없어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경찰의 진압과정에 대한 조사와 책임규명은 당연히 필요합니다.

일반 시민들의 피해를 방지하는 것만큼이나 농성자들과 투입경찰의 안전에 만전을 기했어야 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경찰은 시민의 적이 아닙니다.

엄격한 경찰력이 없다면 우리의 국법질서는 누가 무엇으로 세울 수 있겠습니까?

모두가 피해자가 된 이 사건에서 누가 더 잘못했느냐를 가지고 편을 갈라 싸운다면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미래로 나아가야 할 대한민국의 배는 과거로 다시 역주행하는 불행한 결과가 되풀이 될 뿐입니다.

권위나 변명 따위로는 설득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 있습니다.

모든 것을 밝히고 평결하는 것은 이 순간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능력 밖의 일일 수도 있습니다.

발전의 혜택은 모두에게 돌아가야 합니다. 지금까지 도시 재개발은 땅과 건물을 소유한 사람, 건설사에게만 개발의 혜택이 돌아가는

그들만의 잔치가 되어 왔습니다. 이번 사고의 근원적 발단은 재개발 지역의 상가 및 주거세입자의 허탈감과 저항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특히 상가 세입자의 경우에는 개발의 혜택이 나누어지기는커녕 삶의 터전이 무너져 내리는 것이 되었습니다.

어느 사회나 빈부격차에 의한 갈등이 없지는 않겠지만 그동안 우리 사회는 총체적 발전에만 목소리를 높였을 뿐 그 발전의 혜택이 가난한 사람이나 취약계층에게 얼마나 나누어지는지에 관해서는 너무 무관심하였습니다.

이는 21세기 모든 정부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이고 이를 잘 극복할 줄 아는 국민들이 더 건강하고 좋은 나라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재개발의 혜택이 쫓겨 나가는 상가 세입자들에게도 나누어지는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라 생각됩니다.

우리는 이번 사건을 반성의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취약계층을 위하여 획기적인 재개발 정책을 다시 세움으로써 밝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되어야 합니다.

저도 이를 위해 온 힘을 다 할 것을 약속드리며, 다시 한번 한을 남기고 돌아가신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