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은 12일 일본에서 발생한 강진이 우리나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 차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를 통해 “물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소비재, 에너지·곡물 등의 일본 수입 비중은 크지 않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일본은 우리 수출의 6.0%, 수입의 15.1%를 차지하는 주요 교역대상국이기 때문에 교역·물류·관광 등 분야에는 일부 피해가 예상된다”며 “좀 더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조업은 국내 주요제품들이 일본의 부품·소재에 의존하고 있어 수입에 차질이 있는 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면서 “자동차·반도체 등 대부분의 업종은 일정 수준의 재고를 확보하고 있어 단기간 내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임 차관은 “센다이 공항, 일본 동북항로 4개 항만 폐쇄 등으로 물류·수송에 어려움이 있지만, 나리타 공항, 인근 항만을 이용하면 큰 문제는 없다”면서도 “물류·수송의 어려움이 상당기간 지속될 경우에는 일부 업종에서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관광산업에 대해서는 “지난해 전체 외국인 관광객 879만8000명 중 34.4%인 302만3000명은 일본 관광객”이라며 “관광 성수기 4~5월에 국내 관광업 등 서비스업에 일부 피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시장과 관련 “세계경제 회복 둔화 우려, 안전자산 선호 강화 등으로 투자심리에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파급 영향은 단기적이고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대체로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임 차관은 경제분야 합동대책반을 구성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상황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도록 했다.
재정부는 국제금융, 지식경제부는 원자재, 교역, 산업, 석유, 국토해양부는 물류와 수송, 농림수산식품부는 국제곡물 등 부처별 일일상항을 점검한다.
또 합동대책반에서는 이번 일본 강진 사태가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과도한 불안심리로 인해 시장이 급변하지 않도록 대응하게 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