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일 한·EU FTA 발효 이후 소비재 품목 중 주류와 식품, 의류 등의 가격인하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과 한국수입업협회가 FTA 발효 후 5% 이상 관세가 낮아진 166개 소비재 수입업체를 상대로 조사·분석한 ‘한·EU FTA 발효 1개월, EU산 소비재 가격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EU산 소비재 수입업체들은 FTA에 따른 관세인하를 고려해 도매가격은 6.3%, 소매가격은 6.4% 각각 인하(예정 포함)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관세인하에 따라 도매가격을 내린 기업이나 인하를 계획중인 기업은 각각 19.9%, 54.2%로 조사됐으며, 소매가격 역시 응답기업의 16.3%가 가격을 인하했고 50.6%는 인하할 예정으로 파악됐다. 주요 품목군별 평균 소매가격 인하(전망)율은 주류가 가장 높은 8.1%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식품(7.8%), 의류·잡화(6.6%), 가전제품(6.5%), 화장품·향수(5.0%), 자동차(4.2%), 주방용품(3.8%) 등의 순으로 높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