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안철수, 대선패배 ‘책임론’ 신경전

이영란 기자 / / 기사승인 : 2013-03-11 15:55: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귀국하는 11일, 대선패배 책임론을 놓고 안 전 교수 측과 문재인 전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측이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특히 지난 주말에는 한상진 민주당 대선평가위원장이 대선 당시 양 캠프 간에 오갔던 논의 내용을 일부 공개, 진실게임 공방을 이어가기도 했다.
◇안철수 측=안철수 후보 캠프 측 인사 김민전 경희대 정외과 교수는 이날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와의 인터뷰에서, “상당히 안타까운 사실”이라며 “한상진 전 교수의 경우, 안철수 전 교수가 민주당 평가위원으로 보낸 것도 아니고, 민주당 스스로가 모셔간 분 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선 안 캠프와 연결이 있어서 한 교수가 그런 얘기를 하신 것처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민주당에서 최근에 ‘독수리의 알은 부화하기 전에 깨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무슨 문건이 있다, 뭐 보도를 하겠다’ 이런 얘기를 했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러면 민주당의 미래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지난 대선 때 안철수 전 교수를 지지했던 유권자와 또 민주당 문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 사이에 아직 화학적인 결합이 이뤄지지 못하고 상당한 반목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그것을 치유하는 차원에서 지난 대선의 단일화 과정조차도 모두 공개가 되고 또 평가가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하다”고 역공을 취했다.

한편 김 전 교수는 안 전 교수의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 출마에 대한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의 공개적 비판과 “지금 안철수 전 교수의 입장은 집안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은 있지만 월세방 하나 없는 막내다. 이 막내가 정착금을 조금 쓰자는데 작은 집을 가진 형은 우리 동네 근처에 오지 말라고 그러고, 큰집을 가진 형은 그걸 쫓아내기 위해서 다른 사람을 내세우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민주당 측= 이에 대해 대선당시 문재인 후보캠프 선대위의 종합상황실장이었던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같은 날 YTN <김갑수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안 전교수가 후보사퇴 조건으로 ‘차기 대통령은 안철수로 발표해 달라’ 등을 요구했다는 설에 대해 “언론에 보도된 대로 차기대통령이라는 표현은 아니고, 정확하게 말씀 드리면 ‘안철수 전 후보는 이미 국민의 마음속에 우리나라 미래의 대통령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발언을 해 달라고 요청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사실상 시인했다.

그러나 그는 안 전 교수 측이 ‘내가 민주당에 입당 할 테니까, 후보직을 양보하시오’하고 안 교수가 문재인 후보에게 직접 요구를 했다는 발언에 대해서는 “문재인 후보도 확인을 했지만 그런 사실이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이어 그는 “당시 이해찬 대표가 ‘무소속 대통령은 안 된다’는 발언을 했더니, 안철수 후보 측에서 굉장히 심각하게 비판을 했었다”며 “만일 안 전 후보가 문재인 후보에게 ‘입당할 테니 후보직을 양보해 달라’ 고 했다면 국민들을 속이고 이중 플레이를 한 것이기 때문에 이런 말 자체가 성립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이같은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한 당시의 대화록 공개여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홍 의원은 “서로 신의의 문제가 있고, 또 서로 보호해 주어야 될 것도 있다”며 “그런 차원에서 전체를 다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그는 발언의 사실성 여부가 계속된 논란이 된다면 공개할 가능성도 있다는 뜻을 피력했다.

그는 안 전 교수가 ‘차기 내지는 미래의 대통령은 안철수라는 이 취지의 발표를 민주당 측에서 해 달라’는 그 요구를 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단일화 협상이 끝나고 난 이후로 선거 캠페인을 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며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언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편 홍 의원은 안철수 전 교수가 노원병 보궐선거에 나서는 것에 대해 “안철수 전 후보가 정치를 재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환영”이라면서도 “그러나 안철수 전 교수는 단순하게 어떤 한 지역구의 국회의원이라기보다도 야권 전체의 통합이라든지 이런 문제들도 많은 고민을 해야 된다. 그런 측면에서 조금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어 그는 “노원병에 꼭 나가야 되는 건지 아니면 일부에서 이야기 하듯 부산 영도 같은 데서 한 번 출마를 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이런 것은 조금 더 논의가 되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