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박원순 저격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3-08-02 10:59:2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 위원장 ‘박원순 책임론’에 박 시장 ‘서울시 책임’ 수긍

새누리당 김성태 서울시당위원장이 연일 민주당 소속 박원순 서울시장을 몰아세우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노량진 수몰사고와 방화대교 사고는 100% 인재"라면서 "박원순 시장 집 앞마당까지 물이 불어서 가족들이 위험했다면 박 시장이 그대로 방치했겠는가"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이어 "노량진 사고 이후 서울시는 전체 관급 발주공사 현장을 안전검사를 실시한다고 했고 방화대교는 안전점검을 마친 곳"이라며 "그런데도 서울시는 책임감리제라는 미명하에 책임을 안진다"고 공세를 취했다.


그는 또 "무려 7억여원 예산을 들여 제주도 앞바다에 돌고래는 잘 보살피면서 서울시 공사 현장에서 중국 조선족 동포의 고귀한 생명 앗아가는데도 박 시장은 내팽개쳤다"며 "노량진 수몰사고로 7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후에도 박 시장은 서울시청 청사 안에서 10~60대 여성들을 모셔놓고 여고생인지 모를 이들을 양팔에 끼고 만면에 미소를 띄며 토크쇼를 즐겼다"고 맹비난했다.


이에 대해 박원순 시장은 "결코 우연히 일어난 사고가 아니기 때문에 재발방지대책을 마련 중에 있다"고 사실상 ‘인재’임을 시인했다.


박 시장은 이날 TBS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내부 감사도 하고 있고 외부 전문가들을 모셔 전문가위원회를 만들어 객관적으로 제대로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박 시장의 책임’이라는 김 위원장의 지적에 대해서도 “서울시의 책임"이라며 "서울시에 현재 진행중인 공사가 2000여곳이고 발주중인 게 700여건이다. 심지어 민간기업 공사하는 현장도 서울시가 감독을 해야 된다"고 수긍했다.


특히 그는 김 위원장이 ‘책임감리제’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에 대해 "책임감리제는 1994년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도입됐다"며 "공무원이 하기에 한계가 있어 전문성이 있는 감리회사가 책임지고 감리하도록 돼 있다. 이번 2건의 사고에서 과연 감리제도가 제대로 작동됐는가에 대해 의문이 있다"고 공감 의사를 표현했다.


그러면서 "과거의 관행을 제대로 살펴 제도나 관행을 완전히 바꿔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