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모두 '기초선거 공천' 가닥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02-19 18:00:2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새누리, 공천 유지 대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민주당, '무공천'논의중단··· 25일 이후 결정
정의당 "폐지, 정치개혁 과제아냐" 유지 고수

[시민일보]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 각 정당이 기초의원·기초단체장에 대한 공천을 유지하는 쪽으로 선회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그동안 국회 정개특위에서 논의되던 ‘기초선거 공천폐지’ 논의는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새누리당 당헌당규개정특위(위원장 이한구 의원)는 전날 기초선거에서 공천을 유지하는 대신 국민이 참여하는 상향식 공천을 전면 도입한다는 특위안을 발표했다.

또 그동안 무공천을 논의하던 민주당 지도부도 논의를 중단하고, 공천을 실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개혁특위 안은 20일 최고위원회에 보고하고, 최고의결기구인 당 전국위원회가 추인하면 당헌으로 확정된다. 새누리당 상향식 공천안의 핵심은 경선이다. 지방선거 후보는 물론 국회의원 후보도 당원 50%와 일반국민 50%가 참여하는 경선을 거쳐야 한다. 국민선거인단은 해당지역 유권자의 0.5% 혹은 1000명 이상으로 구성한다. 이런 방식은 광역과 기초자치단체 전역에 적용하되 지역 상황에 따라 여론조사로 국민경선을 대체할 수 있도록 했다.

민주당은 김한길 대표가 지난 14일 4선 이상 중진 의원들과의 회동을 시작으로 초선과 재선, 3선 의원들을 각각 잇따라 만나 기초공천 폐지 문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 공천을 실시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김 대표는 이날 상임고문단과의 만찬을 마지막으로 공천폐지 여론수렴을 위한 릴레이 회동 일정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민주당이 이처럼 공천 실시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은 새누리당이 합의해주지 않는 이상 민주당만 독자적으로 무공천을 실시할 경우 부담이 크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민주당이 무공천을 감행한다면 당 소속 출마자 1만여명의 집단탈당이 불가피하고 기호 2번 민주당 후보는 공석이 되는 것은 물론 당 차원의 후보지원 활동도 봉쇄되는 등 감수해야 할 부작용이 적지 않다.

민주당은 오는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1주년을 맞아 어떤 형식으로든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고 박 대통령의 입장을 들은 뒤 최종 방침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정의당도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는 정치개혁의 핵심과제가 아니라는 판단에서 정당의 공천은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