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2.8 전대 갈등 ‘산 넘어 산’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12-16 15:35:4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전대룰 결정 18일로 미뤄...시민 선거인단명부 분실...평당원 반발 [시민일보=이영란 기자]2.8 전당대회를 앞둔 새정치민주연합 당내 혼란이 점입가경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시민 선거인단명부가 분실됐는가 하면 평당원들이 대표실을 점거, 농성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거기에 전대준비위원회(이하 전준위)의 경선룰도 선거인단 구성 비율을 둘러싼 계파간 이해관계 대립으로 18일로 미뤄지는 바람에 출마 후보 등록일도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16일 전준위에 따르면 당초 전날 선거인단 구성 비율을 최종 의결하기로 했다.

선거인단 구성 문제는 각 계파의 이해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상징적인 문제다.

선거인단 구성은 권리당원과 대의원, 일반 국민과 일반당원의 비율을 어떻게 정하느냐가 핵심이다.

일반 국민의 지지기반이 가장 넓은 친노(친노무현) 진영에서는 3(권리당원):4(대의원):3(일반 국민 및 일반당원)으로 구성하는 것을 선호한다.

반면 비노(비노무현) 측에서는 권리당원을 중시하는 5:3:2 구성비율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당내 지지기반이 가장 탄탄한 정세균계에서는 대의원 비율이 가장 높은 3:5:2를 선호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권리당원 비율을 확대하고 일반 국민 비율을 축소한 3.5:4:2.5 구성비율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선참여 선거인단 36만5000여 명의 명부를 분실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지난 대선에서 모집한 경선선거인단 36만5000여 명은 사실상 문재인 비대위원을 지지하는 외곽세력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친노는 선거인단 구성에 이들을 포함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인 김성곤 의원은 "경선참여 선거인단 명부가 분실됐다"며 "명부가 저장된 CD를 봉인해 관리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관리가 소홀했던 것 같다. 어떻게 없어졌는지 자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김성곤 의원은 "6분의 1이란 숫자가 작지만 친노(친 노무현)과 비노(비 노무현) 간의 예민한 부분이다"며 "명부가 없어진 것이 확실하다면 국민여론조사를 3분의 2, 일반당원 여론조사를 3분의 1로 조정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새정치연합 현행 당규에는 당 지도부 선출시 ▲국민여론조사(6분의 3) ▲일반당원 여론조사(6분의 2) ▲경선참여 선거인단 여론조사(6분의 1) 결과를 반영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평당원들의 반발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날에도 새정치민주연합 평당원협의회 회원들이 당 대표 회의실에 들어와 “전 당원 현장 투표를 하고 당원소환제를 도입하라”고 주장하며 회의 진행을 막는 사태가 발생한 바 있다.

한편 전준위는, 후보군 중에서 당 대표 3명, 최고위원 8명으로 제한하는 컷오프는 내년 1월7일 실시하기로 했다.

또 지명직 최고위원에 여성·지역·청년 등 기존의 부분에 노동분야도 추가하기로 했다.

당내 일각에서 제기한 당권-대권 분리 문제는 당대표가 대권에 나갈 시 대선 1년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기로 결정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