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發 개헌론 불씨 어디로?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1-07 17:22:0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친박+ 비노 “시기상조” vs. 친노 + 친이 “조속논의”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여야 간 정치개혁특위 구성 합의 결정이 ‘개헌론’ 재점화로 이어지는 양상이지만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관측이다.

일단 새누리당 지도부는 정개특위와 개헌특위는 별개라는 입장이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정개특위에 개헌논의도 포함된다는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 내 친이계의 조속한 개헌논의 요구가 ‘시기상조’라는 친박계 반발에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친이계 이재오 의원은 7일 “정치개헌이 제일 핵심인데 개헌문제에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가시적 성과가 없다”며 불을 지폈다.

이 의원은 이날 국회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의원 과반수가 개헌특위 구성을 해야 한다는 뜻을 연명으로 제출한 바가 있다. 일단은 쟁점이 되어있는 특위는 구성하자는 게 국회의원들 뜻”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여기에 새정치연합 친노계가 힘을 실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여당 내에서 그 많던 개헌논의가 대통령 말 한마디로 쏙 들어가면 의회주의가 사라지게 된다”며 “개헌특위를 이번 임시국회 회기 중에 반드시 매듭짓겠다”고 개헌 의지를 강조했다.

범친노 우윤근 원내대표도 “다음주 12일 본회의가 끝나면 바로 ‘2+2’(여야 당대표+원내대표)회동을 추진해 반드시 개헌특위를 마무리 짓겠다”며 “1월 중 여야 간 최종 합의를 통해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안규백 원내수석 부대표 역시 “정개특위와 개헌특위는 동시에 같이 논의하는 것이 사리에 합당하고 맞다”고 가세했다.

그러나 친박계 김재원 새누리당 원내 수석부대표는 ‘2+2회동’ 의제에 개헌문제가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정치 지도자들끼리 개헌과 관련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눌 수는 있겠지만 개헌이나 개헌특위가 회동 의제는 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대표적 친박계 홍문종 의원 역시 최근 "지금은 정치보다 민생이나 경제가 문제 아닌가. 개헌논의는 1년 후에 시작해도 늦지 않다"고 개헌논의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새정치연합 비노계 조경태 의원도 "국민 공감 없이 정치인들끼리 논의하는 건 무의미하다"며 "국민은 아직도 국회의원에게 '너나 잘해'라고 비판하는데, 내각제로 가자는 건 시기상조"라고 일축, 개헌논의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