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계파 갈등 갈수록 태산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7-15 13:22:3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경선룰-정체성 논란...새로운 ‘뇌관’으로 메르스 추경에 이종걸 강기정 ‘따로국밥’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계파갈등이 갈수록 태산이다.

사무총장 폐지를 담은 혁신안이 지난 13일 당무위를 통과했지만 이번에는 경선룰과 당정체성이 계파갈등의 새로운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메르스 추가경정예산을 놓고 당 정책을 주도하는 두 주역, 이종걸 원내대표와 강기정 정책위의장이 서로 딴소리를 하는 등 ‘불협화음’이 계속되는 모양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15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나 당 정체성을 둘러싼 논의가 본격화되면 계파갈등이 재연될 것 같아 걱정”이라며 謄일 예정된 중앙위에서 비주류를 중심으로 혁신안에 대한 반발 기류가 본격화 될 거란 소리가 들린다"고 밝혔다.

실제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전날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나머지 혁신안 주제는 2가지로 당 정체성과 공천개혁”이라며 “공천룰은 8월 중하순쯤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천룰과 관련, “오픈프라이머리를 어떻게 할 것이냐, 안 한다면 배심원제를 할 것이냐, 아니면 지금 당헌처럼 당원 40%·국민 60%로 할지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탈당·분당 관련 당내 움직임에 대해 “당이 역할을 못한다는 실망에서 나오는 목소리도 있지만 상당수는 본인의 기득권 유지 차원에서 하는 얘기”라고 평가절하 했다.

특히 조국 혁신위원은 한 발 더 나아가 “신당은 상수로, 혁신위가 어떻게 하더라도 신당은 나올 수밖에 없다”며 “내가 호남 사람이라도 새정치연합 안 찍는다”고 주장, 혁신위 논의 과정에 호남권 의원들의 반발을 의식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에 대해 호남 출신 비노계 의원은 “그동안 당의 정체성 문제는 공천 심사기준 등으로 활용되면서 비노계에서 ‘공천배제의 수단’이라는 비판까지 나왔었는데 이 문제를 혁신위에서 다룬다는 것은 비노계를 향한 사실상의 ‘선전포고’나 마찬가지”라며 “만일 당의 정체성을 고민하겠다면 당연히 4.29 재보선에 대한 냉정한 평가와 처방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4.29 재보선 참패는 중도층을 공략하지 못한 좌 클릭 때문이었다는 게 당 외부의 일반적 평가"라며 “그렇다면 당 정체성은 ‘중도’로 가는 게 맞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당 정체성 논의가 계파간 정면충돌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여기에 ‘원내 투톱’인 이종걸 원내대표와 강기정 정책위의장의 반목도 심상치 않다.

이 원내대표는 전날 오전 정부 추경안에서 의료기관 피해지원 규모를 4900억원으로 증액하겠다고 발표하는 기자간담회 자리에 강기정 정책위의장을 부르지 않았다. 이에 대해 강 정책위의장은 오후 문재인 대표 주재의 비공개 고위전략회의에서 강하게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강 정책위의장은 지난 9일 비공개회의에서 의료기관 피해지원 예산액을 놓고 이 원내대표와 마찰을 빚은 뒤 같은 날 의원총회에서 결국 증액 규모를 3000억원으로 하는 추경안을 소속 의원들에게 보고하고 기자회견을 통해 언론에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원내대표는 14일 별도로 기자간담회를 열어 추경 심사방향을 밝히면서 의료기관 피해지원 4900억원으로 증액하겠다고 발표했다. 지원대상에서 빠졌던 삼성서울병원을 추가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강 정책위의장과는 따로 조율을 거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강 정책위의장은 “SOC(사회간접자본) 관련해서도 당의 입장은 전액삭감인데, (이 원내대표가) ‘재조정’이라는 표현을 썼다고 하더라”며 “당의 공식 입장을 후퇴시키며 흐트러뜨리는 기자간담회를 뭐 하러 한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어 “삼성병원에 대한 지원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앞서 이 원내대표 등 비노계는 지난 사무총장 인선 파동 와중에 문 대표가 임명한 강 정책위의장의 교체를 요구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