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포털 ‘언론기능’견해차 뚜렷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9-10 14:57:2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홍문종 “포털, 뉴스 연동 광고 못하게 해야” 정청래 “독재적 발상...반드시 역공 맞을 것”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네이버와 다음 등 인터넷 포털의 사실상 ‘언론 기능’등에 대한 여야의 견해차가 뚜렷하게 엇갈렸다.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10일 “네이버와 다음이 검색어와 뉴스를 연동시켜서 광고 수익을 얻는 연결고리를 끊어 무분별한 유사 언론 행위를 줄이겠다”고 밝혔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인 홍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구글의 경우, 검색창에 실시간 검색어가 없고 야후의 경우도 키워드와 최신 뉴스를 연동하지 않는다”며 이렇게 지적했다.

홍 의원은 또 “포털이 언론의 기능을 하고 있고 여론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표현의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책임질 일도 함께 지켜져야 된다”고 말했다.

특히 홍 의원은 포털사 정치적 편향성 논란과 관련해 “당장 시행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실시간 검색어를 폐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새누리당이 추진하는 포털 개혁의 본질은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 기사를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며 “단순 전달자의 기능을 넘어서 가치 판단 영역인 편집·배포 권한을 가진 ‘게이트 키핑’에 대해 상응하는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포털 길들이기’라는 야당의 주장과 관련해선 “일종의 전투적인 선전 프레임으로 야당이 규정하고 있는 것”이라며 “포털 문제가 처음 이슈화된 건 10년 전이다. 상임위 차원에서 한 번 문제를 짚고 넘어가는 것이 이번 국정감사에서 옳은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또 홍 의원은 포털이 뉴스 운영과 관련된 자료를 스스로 공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방송통신위원회를 통해 뉴스의 공정성이나 객관성,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며 "실시간 검색어를 통해 조성된 여론의 조작 가능성을 차단해서 포털이 역할에 충실하도록 하는 것이 기본 취지"라고 설명했다.

포털 개선의 방법으로는 "직접적 통제방식이 아닌 인터넷 거버넌스를 정상화해 자율규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며 "포털은 뉴스 운영과 관련한 자료를 스스로 공개함으로써 자율성을 담보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정한 경쟁 환경을 만들고 유사언론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국민적 염원"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의원은 같은 날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 “네이버, 다음 등 실제로 포털에서 기사를 쓰는 게 아니지 않느냐. 조중동이라든가 연합뉴스라든가 이런 기사를 그냥 링크를 걸어놓는 것"이라며 "네티즌들의 댓글이 많이 붙으면 댓글 많은 기사가 올라가는 거다. 이런 것이 여당에 편향적일 수 있다고 본인들은 보는 것 같은데 그건 국민들의 의사”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댓글 많은 기사를 기계적으로 프로그램에 의해서 배치해 놓는 것이 불편하다면 대한민국의 모든 언론을 없애고 새누리당 기관방송, 기관지만 내야 한다”며 “김무성 대표가 마치 대통령이나 된 것처럼 이렇게 독재적 발상을 하는 것 자체는 반드시 또 다른 역공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공세를 취했다.

그는 안행위에서 네이버, 다음의 대표들을 부르기로 여야가 합의했다가 새정치연합이 일방철회한 것에 대해 “헌법재판소에서 인터넷실명제가 합헌이라고 판정을 했지만 그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를 저도 따져보고 싶었다. 그래서 그 문제에 대해서 증인을 채택하자고 했는데 (여당이)곧바로 바꿨다. 포털이 야당 편향적이다, 이걸로 하겠다, 그러면 애초의 합의사항과 다르기 때문에 합의해 줄 수 없다”며 “그럼 증인채택이 자동으로 무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