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장애인 복지 8개사업 추경에 반영

채종수 기자 / cjs7749@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6-21 17:46:3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저상버스 도입 확대… 평생교육 프로 운영비 증액…

[수원=채종수 기자]경기도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 확대 등 8개 사업 9건을 올해 추경에 반영한다.

21일 도에 따르면 도와 경기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은 최근 장애인 복지사업 지원 확대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도는 특별교통수단 및 저상버스 도입 확대, 중증장애인 생활지원센터 지원 확대,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지원 등 8개 사업, 9건의 예산을 올해 추경에 반영한다.

우선 장애인 이동권 향상을 위해 특별교통수단 도입과 운영 예산을 올해 추경에 확대 요구하기로 했다.

특별교통수단은 교통약자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휠체어 탑승설비 등을 장착한 차량이다.

도는 이 차량을 올해 615대까지 늘리기로 했던 것을 140% 수준인 781대(166대 증가)까지 확대한다.(2015년 말 기준 538대)

이와 함께 전체 특별교통수단 운영비 10%를 도비로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4시간 365일 운행, 시내버스 수준 요금, 시ㆍ군 간 이동 등 ‘광역이동 기준’을 만족하는 시ㆍ군에는 운영비를 추가 지원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반영할 계획이다.

현행 1대 당 250만원인 저상버스 운행손실 보조금 적자분은 500만원으로 100% 인상하기로 했다.

저상버스 추가 도입은 시ㆍ군 수요조사를 통해 국비 지원이 확정될 경우 도비와 시ㆍ군비를 매칭해 예산을 확보하기로 했다.

장애인자립생활주택인 ‘체험홈’은 시ㆍ군 수요조사 후에 2개 시ㆍ군 4채 범위내에서 추경에 예산을 반영키로 했다.(도내 체험홈 8개 시ㆍ군 15채 운영)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센터도 수요조사 후에 5개 센터내에서 추경에 반영키로 했다. 또한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센터 중 국비 지원센터와 도비 지원센터 간 운영비 차액을 올해 추경에 반영해 지원키로 했다. 현재 도내 운영 중인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센터 29곳 가운데 국비 지원센터는 5곳이다.

장애인의 문해교육, 체육 및 문화활동 등을 지원하는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의 프로그램 운영비용도 현행 1곳 당 25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확대한다. 현재 도내 13곳의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그동안 장애인 단체와의 협의를 총괄해온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는 “이번 합의안을 비롯해 중ㆍ장기적인 대책들이 제도권 안에서 성실히 이행돼 도내 장애인 권익이 증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