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업 타당성 부족하다”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정부가 오는 7월부터 시작하기로 한 ‘만 40세 이상 국민 대상 잠복결핵 검사’가 사업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해 계획을 백지화했다.
21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결핵 안심국가’를 목표로 올해 초부터 의료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잠복결핵 검사를 시행한 결과 감염 양성자가 21.4%에 달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에 정부는 집단시설에서 결핵 전파를 막기 위해 올해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38만명에 대해 잠복결핵 검진을 하기로 하고, 이중 12만8000명(33.8%)의 검진을 완료한 결과 2만7000명(21.4%)이 양성자로 확인됐다.
세부적으로 양성자 규모는 시설별로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29.8%) ▲어린이집 종사자(20.9%) ▲의료기관 종사자(18.4%) 순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의 결핵 정책을 심의하는 ‘결핵전문위원회’는 해당 결과를 검토했으며, 만 40세 잠복결핵 검진 사업은 시행하지 말 것을 권고·의결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사업 타당성과 효과, 양성자에 대한 치료 수용 능력, 대규모 집단 검진의 치료 순응도 및 부작용 가능성, 신약(리파펜틴) 도입 과정에서의 애로 등 여러 측면을 논의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실시하고 있는 검진과 치료는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치료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치료 의료기관을 구성하고 의료인 교육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잠복결핵 감염은 결핵균에 노출돼 감염은 됐으나 증상이 없고 타인에게 전파되지도 않지만, 나중에 결핵이 발병할 소지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통계적으로 잠복결핵 감염자 중 5~10%에서 추후 결핵이 발생하며, 참복결핵을 치료하려면 1~2가지 항결핵제를 3~9개월간 복용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국가검진을 통해 잠복결핵이 확인되는 사람에게는 치료비를 전액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인구 10만명당 80명인 1위임에 따라 2025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10만명당 12명 이하의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지난해 ‘결핵 안심 국가 실행계획’을 확정·추진해 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