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업체 회계장부 · 검퓨터 · 휴대전화등 확보
![]() |
||
▲ 사진은 18일 오후 경남 사천시의 KAI 협력업체 P사에 박스를 들고 들어가는 검찰 관계자.(사진제공=연합뉴스) |
검찰에 따르면 이날 압수수색은 KAI의 수백억대 원가 부풀리기 의혹과 하성용 KAI 대표의 횡령의혹과 관련해 실시됐다.
검찰은 이날 이들 업체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납품 관련 문서 ▲회계 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디지털 자료 ▲관련자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검찰이 KAI가 용역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항공기 부품을 공급하는 협력업체들에게 일감을 몰아주고 리베이트를 받는 등의 형태로 뒷돈을 수수한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지난 14일 개발비 등 원가조작을 통해 제품 가격을 부풀려 부당한 이익을 챙긴 혐의(사기) 등과 관련해 경남 사천시 소재 KAI 본사와 서울사무소를 압수수색하면서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했다.
KAI는 ▲다목적 헬기 수리온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 ▲경공격기 FA-50 등 국산 군사 장비를 개발한 국내 대표적인 항공 관련 방산업체다.
검찰은 KAI가 수리온과 T-50, FA-50 등을 개발해 군에 납품하는 과정에서 원가의 한 항목인 개발비를 부풀리는 방법으로 최소 수백억원대의 부당 이득을 챙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검찰은 일련의 과정에서 하 대표 등 경영진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에 대한 파악과 동시에 2013년 5월 사장에 취임했다가 지난해 5월 연임에 성공한 하 대표의 ‘연임 로비’ 가능성도 들여다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검찰이 압수수색한 협력업체 중에는 하 대표의 측근으로 알려진 KAI 출신 조 모씨와 관계된 T·Y사와 P사 등이 포함됐다.
조씨가 대표인 T사는 성동조선해양 대표로 떠났던 하 사장이 2013년 KAI로 돌아온 직후 설립됐으며, KAI에 대한 발주 물량이 매출의 대부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T사의 경우 2014년 매출액이 39억원이었으나 2015년 50억, 2016년 92억으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검찰이 KAI 경영진이 원가 부풀리기를 통한 리베이트 등으로 비자금을 조성하는 과정에 T사가 관여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검찰은 다른 회사인 Y사의 경우 대표가 T사의 지분 83%를 보유하고 있으며, 회사 대표가 KAI 출신이라고 설명했다.
검찰은 또 다른 협력업체인 P사가 ‘일감 몰아주기’에 동원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하고 있다.
앞서 해양플랜트 배관 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세워진 P사는 2015년 항공기 부품 관련 업무를 취급하기 시작하면서 매출 규모가 크게 뛰었다. 2014년 84억원이었던 P사의 매출은 2015년 264억원, 2016년 171억원 등으로 급증했다.
한편 검찰은 이미 KAI 차장급 직원이었던 S씨가 처남 명의로 설계 용역업체를 차려 용역비 단가를 부풀리는 식으로 KAI에서 비용을 과다 지급 받아 200억원대를 횡령한 혐의의 사건을 수사해왔다.
검찰은 S씨는 잠적한 상태라고 밝히면서 차장급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횡령·배임 의심 규모가 이례적으로 크다는 점에서 신병을 확보하는 데로 고위 경영진의 묵인·방조 여부와 윗선을 향한 이익 상납 등을 파헤칠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