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박기영 한국 프랜차이즈 산업협회 회장이 19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
박기영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회장은 19일 오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업계가 스스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진행 중인 조사를 중단하고 3~5개월 정도의 시간을 달라”고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한국프랜차이즈 산업협회는 1400여개의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회원사로 가입돼 있다.
이날 박 회장은 “우리나라 경제를 위해 협력하면서 잘 경영하고 있는 회사도 많은데, 산업의 역기능만 부각되는 건 위험하다”며 “지금과 같은 ‘몰아치기 식’ 조사는 프랜차이즈 산업 전체를 붕괴시키는 행위”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어 “자정할 시간을 준 뒤에도 변화하지 못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어떤 ‘메스’도 수용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프랜차이즈산업협회는 이날 배포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공정위 대책은 원칙적으로 저희가 그동안 고민하고 연구해온 방향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며 표면적으로는 공정위 대책을 수용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실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는 공정위의 잇따른 프랜차이즈 업체 조사와 강도 높은 대책 발표에 불만을 여과 없이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박 회장은 일부 가맹본부에서 물류대금을 부풀려 받는 등의 관행은 로열티를 받지 않아 비롯된 왜곡된 국내 프랜차이즈 시장 구조 때문이라고 규정했으며, 공정위 대책대로 마진을 공개할 경우 로열티 부활이 불가피하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박 회장은 “프랜차이즈는 가맹본부의 경영 노하우와 전문지식을 가맹점주에 주는 대가로 로열티를 받아 수익을 내는 것이 핵심”이라며 “초기 우리나라에 프랜차이즈가 자리를 잡을 때 경쟁이 치열해 가맹점 모집을 위해 로열티를 받지 않으면서 물류대금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왜곡된 문화가 자리를 잡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마진도 공개하고, 로열티도 받지 말라는 것은 회사원에게 교통비만 쥐여주고 근무하라는 격”이라며 “공정위의 상생 원칙은 가맹점주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가맹점주 만을 위한 위험한 정책”이라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다만 제계 안팎에서는 박 회장의 주장은 마진공개 등으로 줄어든 수익을 로열티로 대체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논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박 회장은 “최근 여러 가지 일로 국민에게 불편을 끼친 데 대해 프랜차이즈 산업인을 대표해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며 “환골탈태하는 각오로 혁신해 반드시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프랜차이즈 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상조 공정위원장이 재벌기업에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시간을 주겠다’고 했듯, 프랜차이즈 업계에도 자정과 변화할 시간을 달라”며 “김 위원장과 프랜차이즈산업인과 허심탄회하게 현안을 논의할 수 있는 만남의 기회를 줄 것을 이 자리를 빌려 제안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