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군 170명 지원키로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서울 종로구(구청장 김영종)가 지역내 만 50~64세의 남성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중·장년층 고독사 예방 전수조사’를 실시해 다양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연계·제공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구는 지난 6월26일~8월10일 만 50~64세 주민등록 1인가구 남성 중 기 복지대상자를 제외한 408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복지플래너, 우리동네주무관, 찾동 방문간호사, 복지통장과 함께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대상자 중 미거주, 조사거부(복지욕구 없음), 사망 등으로 2차 조사가 불필요한 대상자는 3915명이었다. 이 중 절반 이상인 2067명(53%)이 근로 등의 사유로 아직까지는 복지욕구가 필요없다고 답했고, 해외 등의 거주로 인한 부재자도 771명(20%)이나 됐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결과에서 복지 욕구가 있는 대상자로 심층 조사가 필요한 대상자 170명을 선정해 진행됐다.
먼저 1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복지플래너가 구체적인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서비스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으며, 대상자를 ▲위험군별 ▲복지욕구별 ▲서비스지원별로 나눠 정리했다.
위험군별로 분류했을 때, 고·중·저 위험군에 해당해 공적지원 및 민간지원 등이 필요한 대상자는 112명, 기타 대상자는 58명이었다. 기타 대상자는 단순 정보제공을 원하거나 대부분 임대주택, 공공근로 신청 문의 등을 궁금해하는 경우에 해당됐다.
지원이 필요한 대상자가 가장 많은 동은 종로1~4가동, 창신2동, 혜화동 순이었고 사직동, 삼청동, 창신3동 3개동은 대상자가 없었다.
복지욕구별로 분류했을 때 생계·주거비 등을 목적으로 하는 현금 지원을 원하는 대상자가 72명(37%)으로 가장 많았고 일자리·의료(정신건강) 지원·주거환경 개선 등으로 이어졌다.
서비스지원별로는 고·중·저 위험군 112명 중 총 85명에 대한 서비스 지원이 이뤄졌다. 49명은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등 복지대상자로 신청했고, 그외 36명은 공적서비스 및 민간서비스 등 자원을 연계했다.
기타 27명은 선정기준을 초과했거나 신청서류 제출 거부 등의 대상자로 추가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구는 이번 조사 참가자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연계할 계획이며, 추가 상담 등도 꾸준히 추진할 예정이다.
김영종 구청장은 “무너진 사회관계망 속에서 오랜 시간을 홀로 지내다가 삶을 정리하는 중·장년층의 죽음은 실로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면서 “단 한 명도 외롭고 소외되는 주민이 없도록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