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명의료결정법(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중단 등 결정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2018년 2월부터 담당의사와 해당분야 전문의 1명으로부터 임종과정에 있다는 의학적 판단을 받은 환자는 연명의료(심폐소생술, 혈액투석, 항암제, 인공호흡기 착용)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이는 환자 본인이 직접 ‘사전연명치료의향서’ 또는 ‘연명의료계획서’를 통해 연명의료를 원치 않는다는 분명한 의사를 표명했을 때 가능하다.
해당 결정은 환자가 의식이 없는 상황에서는 환자 가족 2명이 연명의료에 관한 환자의 의사를 진술하거나, 환자 가족 전원이 합의할 때 연명의료 중단을 결정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시범사업에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작성·등록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이행 등 2개 분야로 나뉘어 시행된다.
먼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작성·등록 시범사업 기관은 ▲각당복지재단과 ▲대한웰다잉협회 ▲사전의료의향서실천모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충남대병원 등이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19세 이상 성인이면 병 유·무와 상관 없이 상담·작성할 수 있다.
아울러 말기·임종과정 환자가 작성하는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이행 기관은 ▲강원대병원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영남대 의료원 ▲울산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남대병원이다.
시범사업 기간 중 작성된 의향서와 계획서는 작성자 동의 아래 2018년 2월 개시되는 연명의료계획서 등록시스템에 정식 등재되며, 법적으로 유효한 서류로 인정된다.
환자가 시범사업 기간 서류로 본인의 의사를 밝히거나, 환자가족 2인이 환자 뜻을 진술한 경우에는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할 수도 있다.
단 환자가족 전원 합의를 통해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은 연명의료결정법이 정식으로 시행되기 전인 점을 고려해 시범사업에선 제외된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설립추진단으로 문의하면 된다.
박미라 보건복지부 생명윤리정책과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현장에서의 수용도를 높여 연명의료결정법의 원활한 시행을 지원하고, 삶의 마지막 단계에 대한 돌봄 문화가 형성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